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핵융합의 도전적 연구지원 방향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9-19
- 등록일 2023-11-10
- 권호 250
□ 문부과학성은 핵융합 에너지의 범위 확장에 필요한 도전적 연구지원 방향을 검토한 최종보고서를 발표*(’23.10.)
* 核融合の挑戦的な研究の支援の在り方に関する検討会 ~最終とりまとめ案(概要)~
※ ‘통합혁신전략 2023’의 주요 정책 중 ‘첨단과학기술의 전략적 추진’에 관한 이행 사항
ㅇ 핵융합 에너지와 관련된 새로운 목표
ㅇ 연구개발 방향성
(1) 도전적 연구개발이 필요한 분야・영역
- 혁신적 상용화 실현을 위해 기존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발상과 혁신적 요소기술을 시스템으로 통합
- 혁신적 상용화 실현에 필요한 공통 요소기술은 고효율화, 고기능화, 저비용화, 고지능화 등의 접근방식을 통한 추진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이용가능성 제고
- 원형로에서 실용로에 이르는 기술적 괴리를 최소화하고 개발기간 단축에 필요한 연구개발 추진
- 타 분야로의 파급효과가 높은 공통기반기술 개발
(2)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과제
- 연구 전체를 조감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일본의 기초연구력과 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실패도 허용하는 도전적 연구개발 추진
- 과감한 도전, 결론의 객관성, 방법론의 타당성, 신규성・혁신성을 바탕으로 연구과제를 선정
(3)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개발 방향성
① 달성해야 할 목표(마일스톤)
② 국제협력의 방향성
- 문샷형 연구개발제도의 틀 안에서 기술적 우위성 유지 및 적극적 국제협력 추진
- 일본의 강점을 끌어내고, 국제협력의 성과를 응용하면서 인재 육성 시스템 및 오픈 사이언스의 전략 등 추진
- 특히, 민간기업 참여 시 기업의 독자적인 상거래로서의 국제 연계・협력(지식재산 관리 포함) 검토도 필요
③ 분야・섹터를 초월한 협력의 방향성
- ITER 계획 및 BA(Broad Approach) 활동 등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 및 문샷형 연구개발제도에서 실시하는 연구개발이 중복되지 않도록 정비
- 상용화 관점에서 국가 주도 프로젝트와의 정보 공유 등 협력을 활성화
- 연구개발성과의 상용화 추진을 위하여 대학 및 연구기관, 스타트업을 포함한 민간기업 등이 참여하는 연구개발 협력체제 구축
- 협력을 위한 윈-윈 관계 구축, 협력 성과의 활용, 인재 육성 시스템 및 오픈 사이언스의 전략 등이 필요
④ ELSI(윤리・법적・사회적 과제 및 해결 방안)
- 목표 달성을 위해 핵융합의 인지도 제고, 사회적 수용성 함양을 위해 문샷형 연구개발제도 심포지엄 개최 등 아웃리치(outreach) 활동 실시
- 목표 달성에 필요한 규제 및 규격 기준 등 사회과학에 관한 연구도 함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