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우주・통신산업을 이끌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경쟁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기정통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9-01
  • 등록일 2023-11-10
  • 권호 250

□ 세계 전역을 커버하는 지구 상공의 위성 그물망 저궤도 위성


ㅇ 저궤도 위성통신은 효율적인 송수신 성능, 소형화경량화, 저렴한 비용 등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

- 사막산지, 바다 위 등 인터넷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에 서비스 제공 가능

- 특히 위성 제작발사비용 감소 및 통신장비 소형화로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상 네트워크를 보완*하는 서비스로 확대 전망

* 정지궤도 위성 대비 저고도(36,000km 300~1,500km)에서 운용되어 낮은 지연시간(수백ms 수십ms)으로 고속 서비스 제공 : 전송속도와 지연시간이 LTE에 상응


ㅇ 인공위성은 위치한 궤도에 따라 저궤도(200~2,000km), 중궤도(저궤도~정지궤도), 정지궤도(35,800km), 고궤도(36,000km~)로 분류

저궤도 위성의 글로벌 커버리지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500개 이상 필요


2-1.PNG

□ 2023년부터 글로벌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본격적인 성장


ㅇ (민간) 스페이스X, 원웹은 저궤도 위성망 구축 완료 및 2세대 위성 발사를 앞두고 있고, 아마존과 Telesat’25년 이후에 서비스 예정

- (Starlink, 일반 가정용(Residential) 서비스) 미국 현지 기준 월 통신요금 120 달러, 장비키트 599 달러 지불, 평균적인 다운로드 속도는 20~100Mbps, 업로드 속도 5~15Mpbs, 지연율은 25~50ms로 유튜브, 넷플릭스 시청 가능


2-2.PNG

ㅇ (정부) EU는 위성통신 프로젝트 IRIS2 발표, 중국은 저궤도 위성산업 진출 프로젝트로 궈왕(Guowang)’을 발표하며 스타링크에 대응

- (국내) 위성통신 기술산업 경쟁력 확보와 국민들의 위성통신 서비스 이용 기반 마련을 위한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을 발표(9.18.)


2-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