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주요국의 인재 육성분야 산학연 협력 사례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5-10-22
  • 등록일 2015-12-21
  • 권호 60

일본 경제산업성에서 해외 주요국의 대학과 산업계 연계를 통한 산업기술 인재 육성 사례를 소개(2015.10.22)


<주요국의 산학연 협력 사례> 

구분

영국

프랑스

사례

KTP

( Knowledge Transfer Partnership)

CIFRE

(연구를 통한 산·학 교육 협력)

개요

- 대학 및 대학원 신규졸업자가 대상이며 6개월3년간 기업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대학의 연구 및 교육성과를 활용해 기업의 과제를 해결하고, 졸업생 채용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제도

- 대학의 기술, 지식의 민간기업 이전, 산업에 기반을 둔 연수제공, 공동연구 등을 통한 대학에서의 산업 관련 연구, 훈련 수준 향상 등이 목적

-기업은 KTP 사무국에 프로젝트 주제 및 목적에 대해서 상담하고 KTP 사무국은 기업의 요구에 적합한 대학을 조사하여 기업과 대학이 함께 KTP에 제안서를 제출하여 심사를 받음(90%가 채용)

- 신규졸업생(학사박사)KTP Associate로서 채용되어 공동연구를 담당

-박사과정 학생이 프랑스 국내기업의 연구개발에 참가하여 성과를 내면 학위 취득할 수 있는 제도

-기업과 대학간의 계약을 통해 기업은 박사과정 학생을 3년간 고용하고 학생은 기업과 대학으로부터 지도를 받음

-박사과정학생은 기업으로부터 연간 약 28천유로의 급여 수령이 가능

-CIFRE 참가 학생은 수료 후, 국내기업 및 연구기관에 의무적으로 취직해야 함

대상

석사, 박사

박사

채용에 대해

- 파견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채용

- 졸업생은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에 취직하는 것이 의무

실적

- 2013년 신규등록수 448(2010~2013년 평균 등록수 699)

- 수료 후 70%가 동일 기업으로부터 채용제안을 받고 그 중 76%가 실제 취업

-연간 채용수는 약 1,300(2012)이며 지금까지 박사취득자는 2만 명 이상

-수료 12개월 후의 취직률은 96%. 그 중 78%가 국내 민간 기업에 취직

비용

부담

-정부조성금과 기업이 각출하여 비용을 조달하며, 기업은 직접비용 3060%를 부담

-정부가 부담하고 국가연구기술협회에서 운영

- 박사과정학생을 고용하는 기업에 대해 장려금(연간 약 14천 유로)을 지급 및 연구비세액공제 지원

- 대학은 기업으로부터 협력자금을 지원 받음


 

미국

독일

사례

- CO-OP 교육 (인턴십)

- 연구기관에서 산학 공동연구 수행

개요

-신규졸업자 채용확대 방안으로서 기업취업체험을 추진하는 CO-OP 교육(기업이 주도하는 경우는 인턴십)이 대학에서 널리 실시되고 있음

-기업은 CO-OP 교육을 통해 학생을 평가하고 졸업 후 정사원으로서 근무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

-학생은 CO-OP 체험을 이력서에 기입하는 경우가 많으며 취업체험기업의 상사 추천서는 학생 입장에서 인센티브가 될 수 있음

- 공동연구를 통해 학생의 경험 축적 및 기업의 인재확보 기회 창출 촉진

- 학생은 산업지향 프로젝트에 협력하며 학부생 및 대학원생의 실무경험을 쌓고 박사과정학생 및 포닥 등은 공동연구를 통해 논문을 집필

- 기업은 공동연구를 통해 우수 신진인재채용이 가능

대상

학사, 석사, 박사

학사, 석사, 박사

채용에 대해

- 기업은 학생을 평가하고 졸업 후, 정사원으로 일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

- 공동연구를 통해 우수한 인재 채용

실적

-전미대학 취직협회에 가입한 기업 241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2015)에서 미국기업의 약 92%가 인턴십을 실시중이며, 45%CO-OP 교육을 도입, 인턴 및 CO-OP 교육에 의한 신규채용은 각각 52%, 38%

-프라운호퍼(fraunhofer)연구소 소장은 대학교수 등을 겸직하고 있으며, 학생도 연구소에 출입이 가능, 직원 22천명 가운데 64백명이 학생

- 박사과정학생은 학위취득 후 2년 이내에 연구소를 떠나 산업계 등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연구소에 잔류하는 학생은 25% 이하



□ 그 외 한국에 대해서는 기업과 대학이 계약을 체결하고 맞춤식 학과를 대학에 설치·운영하고 등록금을 지원하는

   계약학과 제도를 소개


○ 100% 채용을 조건으로 기업이 원하는 내용을 졸업생에게 교육하는 채용조건형학과와 기업 인재의 직무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재교육학과 등 두가지가 있음


○ 교육비는 기업이 50% 이상을 부담하고 나머지는 학생이 부담(중소기업 등은 교육비의 70%까지 정부가 부담, 나머지는

    중소기업, 학생이 부담)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