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AI 핀’, 스마트폰 대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로 진화 기대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경향신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11-10
  • 등록일 2023-12-08
  • 권호 252

□ AI 스타트업 휴메인(Humane)*’, 스마트폰 기능 갖춘 ‘AI (Pin)’ 공개


ㅇ 휴메인은 옷에 붙여 사용하는 스마트폰이자 AI 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AI 을 미국 시장에 출시한다고 홈페이지에 공개(11.9)

- 2016애플 디자이너엔지니어 출신 부부(임란 초드리, 베사니 본조르노)가 샌프란시스코에 설립한 휴메인은 스마트폰을 대체할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새로운 제품개발이 목표

* 오픈AI2020년 초기 투자부터 참여했고 2022년 말 마이크로소프트, 퀄컴벤처스를 비롯해 SK네트웍스의 미국 투자법인 하이코캐피탈, LG그룹의 VC(벤처캐피털) 부문을 담당하는 LG테크놀로지벤처스 등이 투자한 실리콘밸리의 유망기업 중 하나


1-1.PNG

ㅇ 정사각형 모양의 AI 핀은 스마트폰 기본 기능을 갖고 있지만 ‘No 디스플레이를 추구하며 기존 전화기와는 차별화한 폼팩터라는 점에서 이목 집중

- AI를 위해 제작한 독립형 장치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지향하는 차세대 디바이스로 소개하며 본체는 크게 컴퓨터배터리 부스터’ 2개로 구분

- 명함 정도 크기의 AI 핀은 옷깃에 자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 디스플레이가 없는 대신 AI 핀 근처에 손바닥을 갖다 대면 레이저 화면이 비추는 방식

- 손을 기울이거나 엄지와 검지를 맞부딪쳐 기능을 조작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장착돼 있어 기기를 더블 탭하면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도 가능

- 특히 오픈AI의 챗GPT 서비스를 탑재해 보내고 싶은 메시지를 말하면 적절한 문장을 대신 만들어 보내주며 이메일 요약이나 대화 녹음, 영어와 스페인어 간 대화를 실시간으로 통역 가능

- 가격은 699달러(92만 원)로 책정, T-Mobile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AI를 통한 무제한 음성, 문자, 데이터 제공(24달러)


□ 웨어러블 시장스마트링등 저변 확대 시동


ㅇ 삼성전자와 애플은 관련 특허출원으로 제품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핀란드 헬스케어 업체 오우라(Oura)는 이미 3세대 제품을 출시하며 시중 판매 한창

- 삼성전자는 소비자의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기 위해 갤럭시링 1개 모델을 4개 크기로 선행 개발 중이며 출시 시점은 의료기기 허가 기간(평균 1012개월) 등을 고려해 20251분기로 예상

- 최근 갤럭시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에서 혈압심전도 측정 등 건강정보 제공이 대세로 자리 잡은 만큼, 갤럭시링도 신체정보 측정과 알림 기능을 제공 예상


1-2.PNG

ㅇ 애플은 MR 헤드셋 애플비전을 출시하면서 가상의 세계에서 손에 애플링(가칭)을 끼고 있다면 조금 더 세밀하고 정교한 작동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 애플링 개발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분석

- 애플은 지난 8피부 간 제스처 감지 기술(skin-to-skin contact/gesture input from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링 입력장치 기술(Ring input devices)’ 특허출원 등 애플의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스마트링을 연동한 압력 감지 입력 메커니즘 특허 등 애플링 기술개발 지속


ㅇ 핀란드 오우라의 오우라링(OURA Ring)3세대 제품까지 출시하면서 시장 선도

- 오우라링은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호흡률, 수면 데이터를 수집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이를 바탕으로 건강정보 체크 가능

- 3가지 센서(PPG 센서: 체내 흡수되는 적외선 양측정, NTC 센서: 체온 측정, 3D 가속계: 팔 움직임으로 걸음수, 이동거리 등 체크)1개 배터리로 구성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