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딥테크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보스턴컨설팅그룹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3-11-21
- 등록일 2023-12-22
- 권호 253
□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딥테크(Deep Tech) 분야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보고서를 발표*(’23.11.)
* An Investor’s Guide to Deep Tech
ㅇ 딥테크는 기후변화, 식량부족, 질병과 같은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의 기술로, 벤처투자에 버금가는 수익률로 확실한 자산군(asset class)으로 자리 잡음
- 지난 5년간 딥테크는 기업, 벤처 캐피탈, 국부, 사모펀드의 주요 투자처가 되었고, 10년 전 약 10%였던 딥테크의 벤처 캐피탈 투자 점유율은 약 20%로 증가하였음
- 딥테크에 대한 벤처 캐피탈 자금은 2021년 1,600억 달러에서 2022년 약 1,050억 달러로 감소, 2023년 상반기에는 400억 달러로 나타났으며, 2019년 이후 벤처 자금에서 딥테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로 유지되고 있음
ㅇ 딥테크 투자는 복잡하고 투자 기간이 긴 경우가 많지만, 전통적인 벤처 펀드와 딥테크 중심의 벤처 펀드 간 내부수익률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됨
- 전통적인 벤처투자와 딥테크 벤처투자에서 기업인수(각각 53%, 51%), IPO(36%, 31%), 사모펀드 매수(7%, 3%)를 통해 현금화한 비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음
ㅇ 딥테크 기업은 사회적・기술적・경제적으로 영향력이 큰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높은 수익을 제공하며, 현재 딥테크는 프리미엄이 낮고 가치 평가가 적당하여 다른 기술투자에 비해 매력적임
- 딥테크와 관련하여 고려해야 하는 4가지 영향(impact) 영역은 ‘기후와 지속가능성, 인구, 기술, 보안’임
ㅇ 딥테크 투자는 기술의 잠재적 시장을 고려하여 아직 개발 중인 기반기술을 지원하기 때문에 장기간이 소요되며, 기술이 시장 준비단계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의 문제에 대비해야 함
- 딥테크 투자는 다른 기술투자에 비해 성숙 단계에 이르기까지 평균 25~40%의 시간이 더 걸리며, 각 단계에서 실패할 위험성도 높아 인내심이 필요함
ㅇ BCG는 앞서 설명한 4가지 영향 영역에서 기술과 활용사례라는 2가지 측면에서 지난 5년간 딥테크 투자를 분석함
- 다양한 기술(디지털 AI, 자율 시스템, 첨단 물리학 및 화학 등)과 활용사례(모빌리티 및 물류, 에너지와 기후, 건강과 웰빙)가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AI가 투자의 약 1/3을 차지함
ㅇ 딥테크에 투자하려면 투자자는 전문가 네트워크와 파트너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부문에 우선순위를 두고 명확한 투자전략을 갖추어야 함
- 투자자가 우선순위를 정할 때에는 파괴적 잠재력, 투자 가능성, 가치 창출 시간, 기존 역량, 생태계 등을 고려해야 함
※ (파괴적 잠재력) 어떤 활용사례가 선택된 기술을 재정의하는가?
(가치 창출 시간) 기술은 얼마나 성숙되어 있는가? 남아있는 기술적 위험은 무엇인가?
(생태계) 스타트업 자금 조달에서 정부 등 다른 주체들의 개입수준과 유형은 어떠한가?
ㅇ 한편 딥테크에 대한 각국의 지원은 민간과 공공부문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생태계의 성장과 건전성에 영향을 미침
- 딥테크 펀딩은 미국과 중국이 각각 60%와 12%로 세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유럽 전체는 14%를 차지함
- 정부는 정책수립자, 규제자, 자금제공자로서 딥테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