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대학 스핀아웃(Spin-out)에 관한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23-11-21
- 등록일 2023-12-22
- 권호 253
□ 과학혁신기술부는 영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대학 스핀아웃 생태계를 검토하여 스핀아웃 창출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23.11.)
* Independent Review of University Spin-out Companies : Final report and recommendations
※ 보고서 작성을 위해 전문가 인터뷰와 여러 차례에 걸친 토론, 620명의 스핀아웃 창립자가 참여한 설문 등의 방법이 활용됨
ㅇ 스핀아웃 기업은 대학의 연구를 통해 창출된 IP를 기반으로 설립된 스타트업을 의미하며, 이러한 스핀아웃은 영국의 혁신 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 영국의 스핀아웃 기업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1/2022년 기간 동안 176개*의 스핀아웃이 등장함
* 대학 연구로 발생한 IP에 기반하지 않은 교직원 및 학생의 스타트업은 제외한 숫자
ㅇ 본 보고서는 스핀아웃의 장기적 성공에 중요한 초기 단계의 운영과 관련한 이슈를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정책 제언을 제시
1) 스핀아웃 과정
- 스핀아웃은 일반적으로 학자가 대학에 ‘발명 공개’를 하고 기술이전사무소(TTO)에서 상업화를 위한 지원을 받아 IP 활용 방향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고, 추가 개발이 필요한 경우 대학에서 연구비 등을 지원받는 과정을 통해 설립됨
* 라이선스화 하여 다른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스스로 스핀아웃 기업을 설립할 수도 있음
- 스핀아웃 과정의 소요 기간에 대한 일반적인 모델은 존재하지 않으며, 기술이전사무소와 연구자가 스핀아웃에 동의한 이후 4~12개월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됨
* 스핀아웃 창업자(n=572) 대상 설문 결과, 스핀아웃 계약 체결 완료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4~6개월(25%), 10~12개월(15%) 순으로 나타남
- 공동 창업자 발굴, 투자금 확보, 대학 교직원의 스핀아웃 참여 조건 합의 및 이해상충 관리, 특허 실사 등이 스핀아웃 완료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침
2) 대학 기술이전 및 개념증명(proof-of-concept) 연구 지원
- 대학이 기술이전 활동으로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특히 IP 라이선스에 비해 더 많은 지원비용이 필요한 스핀아웃의 경우가 더욱 그러함
- 2021/2022년 영국 대학은 IP 라이선싱을 통해 2억 4,400만 파운드, 주식 판매로는 8,600만 파운드의 수익을 올렸으나, 이는 총 연구비의 2.1%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소수의 큰 성공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
- IP 라이선싱과 주식 판매 수입의 대학 간 분포 역시 불균형하여, 연구비 규모가 큰 상위 6개 대학이 각 수입의 50%, 60%가량을 차지하고 있음
- 스핀아웃으로 수익을 내는 대학이 적어 해당 수익에 대한 활용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일부 대학은 스핀아웃 등으로 인한 수익을 미래의 스핀아웃 지원이나 개념증명 연구 지원 펀드로 규정해 놓기도 함
3) 스핀아웃 아이디어를 실행가능한 벤처로 발전
- 성공적인 스핀아웃을 위해서는 기술 및 상업적 문제뿐만 아니라 법률 및 문제 해결 기술의 융합이 필요하지만, 많은 창업자의 경우 이와 같은 비기술적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문 경영자나 전문가 네트워크와의 협력이 필요함
- 다만 최첨단 치료제나 양자 컴퓨팅과 같은 딥테크 분야는 소프트웨어 산업에 비해 전문성을 가지고 경영할 인력을 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음
-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상업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권장하지만, 이로 인해 학생의 전문성 개발을 저해하지는 않아야 함
4) 지분 투자(equity fund)와 투자자의 역할
- R&D와 관련된 높은 간접비로 인해 많은 스핀아웃이 초기부터 운영자금을 지분 투자에 의존하며, 벤처 캐피탈, 엔젤 투자자, 기업 및 사모펀드의 지분투자는 보통 비즈니스 전략 및 시장진출에 필요한 전문성도 함께 제공함
- 많은 영국 대학들은 스핀아웃에 대한 투자를 위해 대학 투자 펀드(affiliated university investment funds)를 설립하고 있음
5) 학계와 스핀아웃 간의 간극(Porosity)
- 학자들은 교수직을 떠나 스핀아웃에서 영구적으로 일하거나, 교수로 재직하면서 스핀아웃의 과학 자문으로 활동하는 형태로 스핀아웃에 참여할 수 있음
- 많은 대학에서 매년 약 30일 정도로 교수의 외부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스핀아웃, 특히 초기의 경우 이를 통한 병행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가 보다 유연하게 스핀아웃에 참여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함
- 또한 스핀아웃을 위해 학계를 떠나는 경우, 추후 학계로 복귀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는데, 이는 스핀아웃 활동이 일반적으로 학계 채용에 중요한 논문 출간 등 학술적 결과물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임
- 스핀아웃 등의 활동으로 학계를 떠났다가 다시 복귀하고자 하는 창업가를 지원할 수 있는 별도의 자금원이 존재한다면 유용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