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AWS 등 국내외 기업의 ‘데이터센터’ 증설・확보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경제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10-09
- 등록일 2023-12-22
- 권호 253
□ 테슬라・엔비디아,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 움직임…AWS 등 선도 기업에 도전
ㅇ (테슬라)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서 ‘동종 업계 최초(1st of its kind)’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 준비
- 트위터(X)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가 새크라멘토에 있는 트위터 데이터센터 인수를 결정한 것으로 비추어 볼 때, 이 데이터센터를 대대적으로 정비해 자체 데이터센터로 출범을 준비하는 것으로 관측
- 데이터센터를 완공하게 되면 전기차 자율주행・AI 소프트웨어 등을 원활히 구동할 수 있는 AI 슈퍼컴퓨터 도조(Dojo)를 활용 예상
ㅇ (엔비디아) GPU로 AI 칩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 논의
- GPU로 확보한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으로 확대해 아마존・MS・구글 등 기존 클라우드 업체를 어느 정도 위협할지 관심
- 최근 엔비디아가 독자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센터를 소유한 업체와 공간 임대에 대해 논의
- 엔비디아는 지난 3월 GPU 기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는 ‘DGX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하고 MS・구글・오라클 등 파트너십을 체결한 클라우드 업체의 인프라를 임차해 제공
- 엔비디아가 DGX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체 공간을 임대해 독자적으로 데이터센터 구축을 본격화할 경우 기존 클라우드 업계와의 경쟁 불가피 전망
- 현재 클라우드 업체들에 인프라 비용을 내고 DGX 클라우드를 제공하지만 자체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면 비용 절감 측면에서 엔비디아에 큰 이점
□ 클라우드・AI 사업에 필수, 국내 기업의 ‘데이터센터’ 증설・확보 경쟁
ㅇ 데이터센터에 투자하고 있는 카카오・NHN・네이버 등 국내 기업들도 서서히 성과를 보이기 시작
- 카카오가 새 데이터센터를 준공한 데 이어 네이버도 자사 두 번째 데이터센터의 개소를 앞두고 있으며 주요 통신사들도 데이터센터 증설
-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사이 광주에 데이터센터를 마련한 NHN클라우드는 프로모션을 내세우면서 이용 기관 모집에 돌입
- 통신 3사를 비롯한 국내 기업은 최근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종료하고 기업・공공 클라우드 사업에 집중하면서 공공 부문 클라우드 시장 경쟁 한층 가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