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는 연구단의 특성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11-17
- 등록일 2015-12-21
- 권호 60
□ 영국 고등교육자금위원회(HEFCE)*는 영국 내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연구단의 공통적인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2015. 11)
*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 킹스칼리지 정책 연구소(Policy Institute at King's)와 RAND 유럽*이 분석을 수행
* RAND 유럽 : 미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싱크탱크 기관인 RAND 연구소의 유럽지사로 영국(캠브리지)과 벨기에(브뤼셀)에 위치
□ 연구우수성 평가*(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REF) 2014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 연구단 상위 30여개를
선별하여 우수 연구단의 특징을 도출
* 연구성과의 질, 연구가 사회에 미치는 경제적·사회적 영향력, 연구환경 등을 평가
□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연구단의 공통적인 8가지 특징
○ 많은 수의 직원이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국제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연구비 등을 지원받고 있음
○ 연구기관은 최고 수준의 인재 유치가 최우선 사항이며 인재를 지속·보유하기 위해 노력
○ 탁월한 연구 성과에 대해서는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고 직원의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멘토십 프로그램을 운영
○ 연구단 직원들은 연구단 나름의 독특한 사회적, 윤리적 가치를 함양
○ 프로젝트 리더는 책임이 수반되는 자율성(Accountable autonomy)을 보장 받음
○ 우수 연구단은 구성원 간에 단순한 문서 이상의 현실성, 생동감 있는 전략을 공유
○ 일반 연구원 평균보다 우수 연구단 소속의 연구자가 소득이 높음
○ 연구자는 상하 관계의 엄격한 조직문화가 아닌 서로 유기적인 협력 관계에 있음
□ 인재, 연구문화, 가치, 리더십 등의 여건이 우선적으로 갖추어진 뒤, 이를 기반으로 협력과 네트워킹, 전략과 펀딩,
효율적인 행정 지원 등이 있을 때 우수한 성과 창출이 가능
○ 연구기관은 우수 인재 유치 및 직원 훈련을 최우선 사항으로 하며 특히, 박사학위 소지자, 교수, 국제 연구 유경험자,
외부로부터 급여 지원을 받는 직원은 성과와 관련성이 있음
○ 연구문화, 가치, 리더십은 연구단을 하나로 뭉치게 하며 책임이 수반되는 자율성, 연구문화는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는데 기여
○ 협력과 네트워킹, 전략과 펀딩, 효율적인 행정 지원은 우수성과 창출을 가능케 하는 요소
<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 연구단의 개념적 모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