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친환경 혁신을 위한 공동 창조와 대학의 역할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3-12-04
  • 등록일 2024-01-11
  • 권호 254

□ OECD친환경 혁신을 위한 공동 창조(co-creation) 과정에서의 대학 역할과 친환경 공동 창조를 위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간*(’23.12.)

Unlocking co-creation for green innovation : An exploration of the diverse contributions of universities


대학은 친환경 혁신을 위한 과정에서 기업, 정부, 시민과 함께 기여할 수 있으며, 다학제 팀을 통해 사회와 산업 간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


OECD친환경 교통 및 에너지, 제품, 서비스와 프로세스 분야에서 산업과 사회, 대학이 맺은 파트너십 사례를 분석하여 친환경 영향력 창출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조사

- 친환경 교통, 친환경 에너지, 친환경 제품서비스프로세스 등 3개 분야, 10개의 이니셔티브가 선정되어 분석*

* 2021OECD 산하 작업반인 TIP(혁신 및 기술 정책)에서 진행한 혁신 파트너십 및 사례 분석에 기초


8-1.PNG

공동 창조 이니셔티브 촉진을 위한 조건* 분석을 통해 나타난 4가지 정책 고려 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음

* 친환경 혁신을 위한 산업계 신수요 파악, 공금자금 지원, 규제 장벽 제거


1) 대학의 다양한 기여 장려 및 지원

- 대학은 다학제적 지식과 신기술 역량, 핵심 연구인프라 및 네트워크 접근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민정부산업 간 신뢰 구축을 통한 중개자이자 지역 생태계에 기반, 지역인재 유치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중요한 협력 파트너로서 역할 가능

- 또한 지역, 규모, 지역국가 및 국제 과학기술혁신(STI) 생태계와의 연결성, 대표 학문 분야, 연구 활동 분야(기초응용), 중개자 지원 서비스(TTO) 접근, 소셜 임팩트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

 

2) 대학의 핵심 자산 및 친환경 혁신에 대한 기여 지원

- 대학의 중립성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기술변화 방향을 설정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에 따라 대학이 전문성에 기반한 중립적 기여가 가능하도록 재정적 자율성을 보장하는 등 대학의 중립성을 보호

- 도전과제에 기반한 친환경 연구 프로그램 도입

- 과학기술혁신(STI) 정책 결정에 대학의 참여를 더욱 적극적으로 장려


3)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정책적 노력

- 친환경 과학기술혁신(STI) 정책 믹스의 일환으로 대학의 공동 창조 지원을 통합

- 성공적인 공동 창조 이니셔티브를 위한 정책 영역 전반의 조정 강화

- 협업, 리빙랩 등 성공적인 접근 방법 확산 지원


4) 공동 창작 정책 지원을 위한 모범사례

- 공동 창조 프로그램의 설계 시 잠재적 파트너, 사용자, 또는 수혜자를 참여시켜 프로그램의 성공 가능성 및 투명성과 신뢰도를 제고

- 새로운 솔루션의 개발과 확산을 위해 더욱 다양한 협력을 지원

- 급변하는 상황(contexts)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고,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유연성 강화 지원

-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시민 참여 및 소통 활동의 실행을 지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