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기업 투자 유인하며 차세대 글로벌 제조 허브로 성장 원문보기 1

  • 국가 인도
  • 생성기관 파이낸셜뉴스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3-12-04
  • 등록일 2024-01-11
  • 권호 254

□ G3로 부상하는 인도, 각종 글로벌 경제 악재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견고한 성장세 구가


ㅇ 2023년 인도는 약 142,800만 명(UN Population Fund, 2023.4.)으로 세계 1위 인구 대국에 올랐으며, 2022년에 영국제치고 세계 5위 경제국에 진입(IMF)하는 등 향후 수년 내 미국

국에 견줄 수 있는 성장 잠재력 내

- 인도 모디 총리는 현재 젊은 세대가 사회 주축을 담당하는 25년 후 독립 100주년까지 인도를 선진국 대열로 진입시키겠다는 의지 표명


1-1.PNG

ㅇ IMF를 비롯해 S&P 글로벌, 모건스탠리 등 신용기관과 글로벌 컨설팅 기관의 인도 경제성장을 장밋빛으로 전망

- (IMF) 인도경제가 2023, 20246.3% 성장할 것으로 추산했으며 인도를 포함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성장률 4.6%를 기록하면서 올해 가장 역동적인 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


1-2.PNG

- (S&P글로벌) 젊은 층 노동력이 풍부하고 도시 가계 소득 증가에 힘입어 2030년 독일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

- (모건스탠리) 인도는 오프쇼어링(생산시설의 해외 이전), 제조업 투자, 에너지 전환, 선진화한 디지털 인프라 등을 기반으로 향후 10년 내 인도 경제와 증시가 세계 3위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강점) 낮은 인건비와 제조 비용, 기업 친화적 정책과 투자에 개방적인 성향, 젊은 인구와 이들의 소비력 등


□ 인도의 풍부한 노동력과 대규모 내수 시장, 견고한 경제 성장세 등 강점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의 전폭적인 기업 지원책*이 어우러지며 글로벌 기업 유인

*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Production-linked incentive): 자국 제조업 투자유치를 위해 인센티브 및 보조금, 세금 환급 등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


ㅇ 중국의 반도체 굴기 저지를 위한 미국의 중 수출 규제 영향으로 반도체 업계의 진출이 활기를 띠었으며 2024년에는 삼성전자애플구글이 모두 최신 스마트폰 생산라인

을  모두 갖춘 모바일 제조기지로 부상할 전망


ㅇ 테슬라는 관세율 인하를 전제 조건으로 인도에 전기차 생산공장 기가팩토리 신설을 언급하면서 인도 정부는 모든 전기차에 붙는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방안 검토


1-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