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트위치,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한국 서비스 6년 만에 종료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Twitch Blog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12-05
  • 등록일 2024-01-11
  • 권호 254

□ 아마존이 보유한 글로벌 인기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Twitch)가 망 사용료 부담을 이유로 2024227일 한국에서 사업 운영을 종료하기로 결정


망 사용료는 인터넷 콘텐츠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때 트래픽이 대량으로 발생할 경우, 인터넷망 사업자에게 추가로 지불하는 비용

망 사업을 하는 통신 3(SKTKTLG유플러스)를 중심으로 망 사용료를 콘텐츠 기업에 요구해 왔으며 네이버, 카카오 같은 국내 기업은 망 이용료를 내고 있는 반면, 글로벌 콘텐츠 기업은 이에 불응


트위치는 2011년 게임과 e스포츠에 초점을 맞춘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로 출발, 첫 해에 월간 사용자 수 320만 명을 돌파하며 인기 구가

- 아이폰과 맥북의 기본 브라우저인 애플 사파리가 20.04%2, 과거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시장을 독점했던 마이크로소프트는 엣지 브라우저로 점유율 5.5%3위 차지

- 한국에서 트위치를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이 심각한 수준으로 높다며 다른 국가에 비해 10배가 더 높은 네트워크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어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설명

- 영상 화질을 한국에서 480p까지 낮추는 방안과 해외에서 서비스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충분하지 않은 영상 화질과 지연시간이 증가하여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

- 20177월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 지 6년 반 만에 트위치 서비스가 종료됨에 따라 한국 트위치 이용자는 2024227일 이후로 정기 구독권 같은 유료 상품을 구매할 수 없으며 스트리머(방송 진행자)도 수익 창출이 불가능

- 2024327일 한국을 거주 국가로 설정한 스트리머를 대상으로 최종 정산 금액이 지급되고 같은 해 64일 제휴 회원 및 파트너가 취소될 예정

- 앞서, 트위치는 20229월 망 사용료 부담 때문에 동영상 화질을 한국에서만 초고화질(1,080p)에서 일반화질(720p)로 낮춰 제한하고, 같은 해 11월 다시보기 서비스 등 주문형비디오(VOD) 서비스도 중단하는 등 비용 절감 노력 지속

- 업계에서는 트위치가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와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해외 콘텐츠 사업자(CP) 간 갈등이 고조된 상황을 고려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관측


트위치의 국내 사업 철수로 인해 아프리카TV, 트위치, 유튜브 등이 각축을 벌였던 게임 스트리밍 시장의 판도에 이목 집중

- 트위치 플랫폼 이탈이 불가피한 인기 스트리머와 시청자들을 자사 플랫폼으로 끌어들여 시장 지배력을 높이기 위한 행보가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

- 20대 중심인 개인방송 앱에서 트위치 철수에 따른 경쟁 구도 변화 불가피

20대 사용자 수 1인당 월평균 사용자 수는 트위치가 더 높으며 사용 시간은 아프리카TV가 앞서는 것으로 조사


□ 네이버는 트위치 한국 시장 철수 속에 스트리밍 방송 플랫폼 출격 준비


네이버는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CHZZK가칭)’2024년 상반기 출시할 계획으로 국내 시장 철수를 결정한 트위치의 빈자리를 빠르게 흡수할 계획


4-1.PNG

- 치지직은 게임 콘텐츠에 특화한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풀HD급인 1,080P 화질로 영상이 제공되며 게임 방송에 적합한 이용자 인터페이스(UI)와 커뮤니티, 후원 기능 등을 제공하고 주문형비디오(VOD) 다시 보기도 지원

- 네이버는 자사 직원을 대상으로 게임 스트리밍 비공개테스트(CBT) 서비스를 진행(12.5.)했으며, 올해 1219일부터 공개테스트(OBT)를 시작한 뒤 2024 상반기에 치지직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

- 트위치 한국 시장 철수로 게임 특화 스트리밍 사업을 준비 중인 네이버로 기존 트위치 스트리머 일부만 유입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 이용자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더없는 기회로 평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