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CES 2024, 스마트홈・모빌리티 등 AI 생태계 확장 가속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CES 2024 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01-01
- 등록일 2024-01-26
- 권호 255
□ 세계 최대 ICT 전시회 CES 2024는 글로벌 업계의 한 해 신기술・제품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예고편이자 첨단기술력을 겨루고 가늠하는 경연의 장
ㅇ 슬로건 ‘All Together, All On’은 광범위한 산업에 첨단기술을 도입・활용하여 모든 것을 연결하고 세계 공통의 과제를 해결하자는 의미 내포
- CES를 주최하는 CTA 브라이언 코미스키 CES 담당자는 CES 2024 전시업체의 30~40%가 기술 발전을 선보이는 만큼 CES는 단순 가전 전시회 이상의 자리
ㅇ CTA는 AI를 필두로 △모빌리티, △푸드・애그테크, △헬스・웰니스테크, △지속가능성, △인간안보(HS4A)를 CES 2024의 5대 테마로 선정
- (AI) 의료, 지속가능성, 생산성, 접근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선두이자 중심
- (모빌리티) 자동차 기술부터 자율주행차, 전기자동차, 개인용 모빌리티까지 250개 이상 업체 참여
- (푸드・애그테크) AI를 적용한 냉장고・인덕션 등 조리 기기와 조리 로봇, 휴대용 전자레인지 등 음식과 기술을 결합한 푸드 생태계 확장
- (지속가능성) 기업은 접근성, 에너지, 식품 기술, 탄력성, 스마트도시, 깨끗한 물 등 혁신을 통해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중점
- (HS4A: Human Security for All) ‘유엔 인간안보 신탁 기금’, ‘세계 예술과학 아카데미’와 파트너십을 맺고 기술이 세계의 중대한 도전 과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보여줄 것
ㅇ (기조연설) HD현대 등 주요 산업군에 속한 C-level 연사가 참여하여 사회 및 산업 혁신의 비전 제시(화장품 기업 대표 최초 참여)
□ (스마트홈) AI 결합한 ‘초연결・공감지능’ 등 스마트 라이프 시대 도래
ㅇ (삼성전자) ‘일상 속 똑똑한 초연결 경험’을 주제로 스마트싱스 생태계를 전면에 내세운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를 선언하고 AI가 삶에 스며들어 혁신을 만드는 미래 비전 제시
※ 참가업체 중 가장 넓은 3,934㎡(약 1,192평) 규모로 전시관 마련.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스마트싱스(SmartThings) 에코시스템을 지속 부각함과 동시에 글로벌 테크 리더로서 AI 기반 신제품과 기술 대거 공개
ㅇ (LG전자) ‘고객의 미래를 재정의하다(Reinvent your future)’를 주제로 내걸고 새로운 ‘AI 엔진(LG AI 브레인)’과 AI 플랫폼 ‘싱큐(ThinQ)’ 기반의 미래 라이프 스타일 구현
□ (모빌리티) 또 다른 생활공간으로 거듭난 ‘미래 자동차’ 개발 각축
ㅇ (삼성전자) 가전 플랫폼 ‘스마트싱스’를 자동차까지 확대한다고 밝히며 이를 위해 테슬라, 현대자동차그룹 등과 협력
※ (삼성전자-테슬라)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태양광 패널, △파워월(Powerwall,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 △전기차(EV) 등과 연결해 앱 상에서 전력량을 모니터링하고 간편 제어 가능한 협력
ㅇ (LG전자) 미래 모빌리티를 개인화된 디지털 공간(Personalized Digital Cave)으로 재정의하고 전시관 내에 LG 알파블(Alpha-able, αble)을 처음 공개
ㅇ (현대자동차그룹)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해 수소에너지 기술・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그룹 미래 사업 구체화
□ (주요 트렌드) AI기술의 빅테크・제조업 합종연횡 확산
□ ‘CES 2024 혁신상’ 韓 벤처・창업기업 역대 최다 수상
ㅇ 올해 CES에서 한국기업 134개 사, 158개 제품이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수상했으며 이 중 벤처・창업기업은 116개 사로 전년(111개 사) 대비 수상 기업 증가
- CES 혁신상은 박람회를 주최한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세계를 선도할 혁신 기술과 제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인공지능(AI),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스마트시티(Smart cities), 로봇공학(Robotics) 등 28개 분야에서 313개 사(379개 제품)가 혁신상 수상기업에 선정
- 이 중 한국기업은 134개 사(42.8%), 158개(41.6%) 제품이 수상했으며 중소벤처기업은 121개 사로 전체의 90%를 차지
- 또한, 전체 전시 분야별 가장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보유한 기업에 수여하는 최고혁신상은 전 세계 기업 27개 사가 수상했으며 이 중 8개 사가 한국의 중소기업, 스타트업 제품으로 최다 선정
※ 최고혁신상은 부문별로 가장 뛰어난 혁신을 보여준 제품・서비스 1~2개만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