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사회 기반으로서의 메타버스 가능성과 과제를 정리한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01-12
  • 등록일 2024-02-16
  • 권호 256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새로운 사회 기반으로서의 메타버스 가능성과 과제를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24.1.)

* 社会基盤としてのメタバースの可能性と課題


○ 메타버스*는 게임이나 소셜 VR 등에 주로 활용되어 왔으나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활용 범위가 확장

*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해 몰입감 높은 3차원 가상공간을 제공

- 현실 세계에서 다양한 제약을 지닌 사람들을 포함해 누구나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티를 실현할 수 있는 유망한 수단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을 지님


○ 한편, 메타버스 활용의 확대 및 일상생활의 일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사회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메타버스인 ‘디지털 사회 기반 메타버스’가 필요

- 디지털 사회 기반 메타버스는 고령자, 은둔형 외톨이 등이 현실 세계의 다양한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한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로 사회 기반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의미


○ 사회 기반이 되기 위해서는 안심하고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고, 누구나 그 활동을 통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포용성을 갖추어야 함

- ‘안심안전의 관점에서는 외모, 성별 등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아바타가 조작하는 사람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 및 가상 공간에서의 괴롭힘, 아바타 사칭 등의 부정행위에 대응하여 누구나 안전하게 참여

- 포용성의 관점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의도에 따라 활동할 수 있고, 연구자, 지자체, 비영리단체(NPO) 실무자 등 누구든 누구나 쉽게 메타버스를 활용


○ 디지털 사회 기반 메타버스 실현으로 사회경제적 효과 및 과학 기술적 효과를 기대

- (사회경제적 효과) 고령자은둔형 외톨이의 지원 및 사회참여, 안심하고 메타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될 경우, 사용자 증가 및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통한 시장 확대 등 경제적 효과 기대 가능

- (과학 기술적 효과) 가상공간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거의 모두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 세계에서는 수집이 어려운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 추진 가능, 인간 자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여 사람과 대화하거나 사람을 지원하는 로봇 및 AI 등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메타버스 이외의 연구 분야로의 확대도 기대 가능


○ 디지털 사회기반 메타버스 실현을 위한 과제와 연구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음


1) 디지털 사회 기반 메타버스 과제

- 디지털 사회 기반 메타버스는 기술(공통기술, 고유기술)과 기반제도, 활용 분야로 구성


4-1.PNG

-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사람의 인지행동을 파악하는 사람에 대한 이해’(빨간색), 안심안전과 포용성을 실현하는 시스템 기술’(파란색), 기초가 되는 규범’(청록색) 관련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상호 연관된 연구개발 추진을 위해서는 통합적 추진 필요

- 디지털 사회 기반 메타버스 실현을 위해서는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사회실험을 통해 그 성과를 상용화하는 것이 필요


2) 연구개발 추진 방식

-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를 포함한 연구개발팀 구성

* 정보학, 심리학, 인문사회과학 연구자 등

- 디지털 사회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운용은 초기 단계부터 연구자와 플랫폼 운용보수 담당 기관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

- 연구개발, 사회실험*, 상용화는 소규모, 탄력적 접근방식으로 실시하여 연구개발 성과를 사회실험으로 신속하게 평가하고 상용화하는 것이 필요



* 사회실험에서는 이해관계자의 역할, 플랫폼의 운용보수, 경제성 등을 검증하고 지자체, 비영리단체(NPO) 등의 실무자가 지속적으로 상용화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