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10개의 지역혁신엔진(Regional Innovation Engines) 출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백악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4-01-29
- 등록일 2024-02-29
- 권호 257
□ 국립과학재단(NSF)은 지역을 기술 및 혁신 중심의 경제 허브로 변화시키기 위해 최초로 10개의 ‘지역혁신엔진(Regional Innovation Engines)’을 출범*(’24.1.)
* NSF establishes 10 inaugural Regional Innovation Engines across the country
※ 지역혁신엔진 프로그램은 2022년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라 승인되었으며, 상향식 경제 정책 기조인 바이드노믹스(Bidenomics)의 일환으로 추진
○ 지역혁신엔진은 지역의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혁신 역량을 제고하고, 정부・산업계・학계・시민사회 등의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혁신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
- NSF는 18개 주에 걸쳐 선정된 10개의 지역혁신엔진에 향후 10년 간 약 16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미국 역사상 지역 기반 연구개발에 대한 대규모의 단일 투자 중 하나가 될 전망
※ 각 지역혁신엔진은 NSF로부터 최초 2년간 최대 1,500만 달러를 지원받으며, 주/지방 정부 및 민간 기업 등 비연방 파트너로부터 약 2:1의 매칭 자금을 받게 될 전망
※ 대부분의 혁신생태계 프로그램은 1~4년의 짧은기간동안 개별 스타트업이나 경제개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반면, 지역혁신엔진은 각각 최대 10년 동안 1억6,000만 달러까지 지원가능
○ 10개의 지역혁신엔진은 향후 10년 간 반도체 제조, 청정에너지, 지속가능한 섬유, 재생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전망
- 지역의 과학기술 강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산업과 인력을 육성하여 미국인들이 지역사회를 떠나지 않고도 경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많은 가능성을 창출할 전망
또한 민간산업, 벤처캐피탈, 주/지방정부, 고등교육기관, 노동조합, 비영리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여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할 계획
○ 바이든 행정부는 지역혁신엔진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방정부의 다양한 자원을 동원*하여 자금, 기술지원, 계획 등을 파악하여 제공하고 있음
* [경제개발청(EDA)] 한 지역이 NSF의 지역혁신엔진과 EDA의 기술허브지정을 동시에 받을 경우, 투자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혜택과 자원을 긴밀하게 연계・조정
[노동부(DOL)] 지역혁신엔진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좋은 일자리를 개발하고 인력 개발경로 마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