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산업연계・지역진흥 관련 대응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4-02-02
- 등록일 2024-02-29
- 권호 257
□ 문부과학성 산업연계・지역진흥 워킹그룹은 7회 회의에서 산업연계・지역진흥 관련 현황 및 과제, 대응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24.2.)
- 지역핵심・특색 있는 연구대학강화촉진사업(J-PEAKS), 공동창조의 장 구축지원 프로그램(COI-NEXT), 대학 스타트업 창출 및 성장을 위한 문부과학성의 정책 등 산업연계・지역진흥과의 ’24년 예산 등을 공개
○ 지역핵심・특색 있는 연구대학강화촉진사업 [J-PEAKS]
- (배경) 일본 전체의 연구력 향상을 위해 대학펀드로 최고 수준의 연구대학을 지원함과 동시에 지역의 핵심대학 및 특정 분야에 강점을 지닌 대학 등 실력과 의욕을 갖춘 다양한 대학의 기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
- (경과) 범정부적 지원정책을 「지역 핵심・특색 있는 연구대학 종합진흥패키지」로 정리하여 종합과학기술・학술 본회의에서 결정(’22.2.)
- (목표) 실력과 의욕이 있는 대학이 자신의 강점 및 특색을 최대한 발휘하여 성장 엔진으로서 전지구적 과제 해결과 사회 변혁을 주도
- (내용) 연구력의 비약적 향상을 위해 각 대학의 10년 후 비전 제시, 대학별 강점 및 특화 연구역량 중심의 경영전략 수립, 대학 간 협력, 국제 협력 및 상용화의 가속화 실현에 필요한 환경 구축 등을 위한 대응을 지원
※ 연구전략 기획・실행 및 기술지원 등을 수행하는 전문인력 인건비, 기타 전략 실행 비용 지원, 연구・사무 기기・설비 등 환경 정비 경비 등 지원
○ 공동창조의 장 구축 지원 프로그램 [COI-NEXT]
- (비전) UN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에 입각한 미래의 바람직한 사회상 실현
- (내용) ①백캐스트(목표역산방식)로 혁신에 기여하는 연구개발, ②자립적・지속적 거점 구축이 가능한 산학관 협력 매니지먼트시스템의 구축을 패키지로 추진
※ (육성형) 비전 구축, 연구 주제 결정, 연구추진체제 정비 실시, 진척 관리, 네트워킹 및 발전 시나리오 지원, 본격형 승격 기회 제공, 12개 거점에 연 3천만엔 2년간 지원
※ (본격형) ① 국가적・세계적 사회과제 해결을 위한 대학 중심의 국제수준 거점(공동창조), ② 국가 중점전략 중심 거점(정책 중점), ③ 지역 대학 중심 지자체・기업 연계의 지역 과제해결・경제발전을 위한 거점(지역 공동창조) 지원, 33개 거점 최대 연 4억엔 10년 지원
- (기대효과) 대학 및 지역의 독자성・강점에 근거하는 산학관 공동 창업 거점 구축을 추진하여 국가의 성장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대학 등이 주도하는 지식 집약형 사회로의 변혁을 촉진
○ 대학 스타트업 관련 문부과학성 정책(단계별 지원)
- (창업인재 육성)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지원(START), EDGE-PRIME Initiative, 전국 창업가정신 양성 촉진 사업 등 추진
※ 거점도시 대학 및 고등전문학교의 지자체・산업 연계 실천적 창업교육 지원, 전국 초・중・고 학생 대상 창업가 교육 프로그램 지원, 창업가정신 교육 지표・방법 정비 등 환경 정비
- (창업) 딥테크 스타트업 국제전개 프로그램, 스타트업・생태계 공동창조 프로그램 등 대학신산업 창출 기금(’22년 추경예산 988억 엔) 운영
※ 딥테크 우수 성과 기반 국제적 영향을 창출하는 대학 스타트업 육성, 국제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화・연구개발 마일스톤 설정 및 대응, 잠재 시드 발굴 및 창업 생태계 조성
- (성장・발전) 민관혁신프로그램으로 4개 국립대학 스타트업 출자, 출자형 신사업 창출 지원 프로그램(SUCCESS)을 통한 대학 스타트업의 연구성과 사업화 지원
○ 산업연계・지역진흥과 ’24년 예산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