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기업의 온디바이스 AI 기술・제품 개발 활기 원문보기 1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매일경제 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02-06
  • 등록일 2024-02-29
  • 권호 257

□ 국내외 글로벌 기업은 온디바이스 AI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기술・제품 개발 활기




○ 삼성전자가 갤럭시S24 시리즈로 온디바이스 AI 시대의 포문을 연 가운데 LG전자・애플・딥엑스 등 글로벌 기업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PC 등 엣지(Edge) 기기에 맞게 경량화하며 온디바이스 AI 제품군 확장




○ (삼성전자) 스마트폰 최초로 ‘온디바이스 AI’가 적용된 ‘갤럭시 S24’ 공개(1.17.)



- ‘갤럭시 S24’ 시리즈는 휴대폰에 내장된 AI로 인터넷 연결없이 실시간 전화 통역 및 메시지 번역, 구글과 협업한 이미지 검색 기능 ‘서클 투 서치’ 등 실생활에 유용한 다양한 AI 기능을 구현한 점이 특징



- 스마트폰에 이어 무선 이어폰, 노트북, 가전기기는 물론 확장현실(XR) 헤드셋까지 온디바이스 AI의 탑재 영역을 넓혀나갈 방침



- 스마트폰에 이어 갤럭시 버즈에 통역이 가능한 온디바이스 AI를 연동하게 되면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대면 대화를 실시간 통역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류가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는 단초가 될 전망




○ (LG전자) AI 기술 개발・서비스 기업 업스테이지와 온디바이스 AI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2.6.)


- 이번 협약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기반 경량화 언어 모델(SLM)과 노트북에 적용하는 AI 기능・서비스 개발 협업 등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


- SLM 시장에서 성능을 인정받는 업스테이지의 ‘솔라(Solar)’ 모델을 활용해 고객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AI 서비스를 안심하고 즐기는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


- 이를 기반으로 LG 그램이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고 기기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이 원하는 내용을 검색・추천하거나 요약하는 기능 등을 개발해 개인 맞춤형 AI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


- 2024년형 그램에 AI 연산에 특화된 반도체 신경망처리장치(NPU)가 내장된 인텔(Intel)의 최신 CPU를 탑재해 최대 10대의 안드로이드/iOS 기기와 사진・파일 등을 전송하고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AI 그램 링크(AI gram Link)’ 기능 발표(’23.12.)




○ (애플) 새 운영체제(OS) iOS18을 출시하면서 다양한 거대언어모델(LLM) 관련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며 금년 3분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16 시리즈에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하여 온디바이스 AI로 구동할 계획


- iOS18에서 선보일 AI 기능으로는 시리(Siri), 메시지 앱 간의 호환성 개선,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애플 뮤직 플레이리스트, 생성형 AI 콘텐츠 생산 등이 거론


- 애플의 자체 오피스 앱에 적용돼 문서와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자동으로 작성해 주거나 개발자의 모바일 앱 개발을 돕는 방식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




○ (SK텔레콤) 오픈AI, 앤스로픽 등 해외 기업과 공동 개발 중인 텔코(Telco, 통신사)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주요 기능을 올해 상반기 공개하고 AICC(AI콜센터), 텔코 에이전트 등에 적용할 계획




○ (DeepX) 서버의 초거대 AI와 온디바이스의 거대 AI를 연합 구동하는 기술을 개발해 개인화 기기에서 지능은 초거대 AI 수준으로, 전력은 수와트(W)로 구동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를 2025년 하반기에 선보일 예정




○ (엔비디아) ‘나만의 데이터’를 챗봇에 연결해 질의 응답할 수 있는 윈도 PC용 ‘챗 위드 RTX(Chat With RTX)’ 공개(2.14.)


- 사용자가 자신만의 콘텐츠로 챗봇을 개인화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 AI를 넘어 온디바이스 AI로 무게축을 옮겨 관련 업계 이목 집중




□ 韓, 일상 파고든 ‘온디바이스 AI’ 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 마련 속도




○ 정부는 올해 하반기 고난도 인공지능 연구를 수행하는 ‘AI 연구거점’을 한국과 미국에 만들고 ‘온디바이스 AI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는 추진계획 발표(2.13.)


- 과기정통부는 거짓답변, 편향 등 생성형 AI 한계를 돌파할 차세대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며 △차세대 생성 AI 기술 개발 △AI 첨단 원천 유망 기술 개발 △사람 중심 AI 핵심 원천 기술 개발 등에 올해 24억 5,800만 원을 지원할 방침


- 아울러, 해외 유수 연구진과 함께 고난도 AI 연구를 수행하는 AI 연구거점을 국내와 미국에 조성할 예정


- 특히, 국산 AI 반도체를 기반으로 온디바이스 AI 시장 선점을 위한 ‘온디바이스 AI 활성화 전략(가칭)’을 마련하고, 범부처 AI・디지털 정책을 종합적으로 재설계하는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2.0’을 상반기 중 수립할 방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