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교육기술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5-12-10
  • 등록일 2016-01-11
  • 권호 61

□ 미국 교육부(ED)*는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의 질, 학업성취도 향상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가교육기술계획

   (NETP)**을 발표(2015.12.10)


    * Department of Education


  ** National Education Technology Plan : 미국 교육기술 정책 방향 설정을 위해 5년마다 수립


○ 본 계획은 “미래에 대비하는 교육: 교육 분야에서의 기술의 역할 제고“로 교육에 대한 평등한 접근 기회, 기술 활용, 협동적인

    리더십의 비전을 제시


□ 학습, 교육, 리더십, 평가, 교육을 위한 기초시설 등 5개 부문별 구체적인 계획안을 제시

 

<2016 국가교육기술계획 5개 부문별 주요 내용> 

구분

주요 내용

학습

(Learning)

- 경제적·사회적 배경과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평등하고 질높은 교육기회를 제공

- 정부 및 교육기관은 교육 자료의 개발과 관련 자료의 현황 파악 및 평등성, 접근성에 대한 판단 기준 마련을 권장

교육

(Teaching)

- 기술의 활용을 통해 사람과 자료, 교육 컨텐츠 등을 연결하여 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

- 기술 활용 방안 숙지를 위해 교사에게 학기 중 재교육 프로그램 제공, 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기술 요건을 표준화하고 명확히 제시

리더십

(Leadership)

-교육 지도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 제고, 학습 과정에 기술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주 정부 및 지역 정부의 비전 설정을 목표로 함

-지역, 학군, 대학, 학교 간의 계획이 상호 연계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련자의 논의를 통해 비전 제시, 기술 및 컨텐츠 구매를 위한 자금 계획 마련, 교육계 리더 간 허브 역할을 할 공동체 모임과 온라인 웹사이트를 구축

평가

(Assessment)

- 학업성취도의 실시간 평가, 표준화 된 결과치의 활용 등 기술 활용을 통해 쉽게 측정하고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육의 질 향상

-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정보 보안을 지키면서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수집·공유 체계 마련

기초시설

(Infrastructure)

- 모든 학생, 교육자가 교육 컨텐츠에 평등하게 접근 가능한 것이 목표

- 고품질 교육 컨텐츠 접근을 위해 학교 및 자택의 고속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제공, 저비용 고효율 기기 보급,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보안 확보, 고품질 디지털 컨텐츠 및 자료 제공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