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빅데이터산업 발전 촉진 로드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12-15
- 등록일 2016-01-25
- 권호 62
□ 중관촌*은 13차 5개년 기간 동안의 빅데이터산업 발전 촉진 로드맵을 발표(2015.12.12)
* 중관촌 : 1988년 5월 중국 최초로 지정된 첨단 기술 개발구로 베이징 시 해정구(海淀區)에 위치(면적:1.5 km2)
○ 2012년부터 빅데이터 산업클러스터 육성 정책을 실시하였으며 300개의 빅데이터 혁신기업을 배출
□ 2020년까지 중관촌을 글로벌 빅데이터 혁신센터로 육성
- 글로벌 빅데이터를 이용한 창업과 인재, 기술, 자본, 데이터자원 등의 혁신요소 집결 목표
- 빅데이터 혁신기업 600개를 집결시키고, 빅데이터 응용서비스 기업 6,000개를 육성
- 3조 위안의 산업규모, 가치사슬을 완전히 갖춘 산업클러스터 및 베이징·톈진·허베이 산업벨트를 구축
※ 베이징시에서 R&D센터를 설립, 톈진시에서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등 설비생산기지를 구축, 허베이성의
랑팡, 청더, 장쟈커우 등지에서 빅데이터센터와 전자상거래 등의 서비스 프로젝트를 중점 지원
□ 정부, 사회, 시장이 공동 추진하는 6개 분야의 29개 방향 제시
6개 분야 | 29개 경로 |
ⓛ 혁신능력 제고 | - 빅데이터 마이닝, 처리, 분석, 응용 등 기술 산업화 촉진 - 안전하고 자주적 제어가 가능한 빅데이터 핵심장비 산업화 추진 - 인간-기계 상호작용,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핵심기술 선행 배정 - 빅데이터 핵심기술 특허 풀(Patent-pool)과 표준체계 구축 |
② 혁신자원 집결 | - 빅데이터 첨단인재 100명 유치 - 빅데이터 혁신단체 100개 유치 - 50억 위안 규모의 빅데이터 창업투자기금 설립 - 빅데이터 전문인재 2만명 양성 - 빅데이터 기능형 인재 15만명 양성 |
③ 혁신플랫폼 구축 | - 세계 일류 빅데이터 연구기관 5개 구축 - 빅데이터 거래와 평가 기관 5개 구축 - 빅데이터 공유와 응용 플랫폼 30개 구축 -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센터 10개 설립 - 빅데이터 창업 인큐베이팅 플랫폼 20개 구축 |
④ 정책체계 혁신 | - 빅데이터 발전을 저해하는 제한정책 타파 - 데이터 개방 가속화 - 데이터교환 표준 수립 - 빅데이터 교역 발전 |
⑤ 공공 서비스 개선 | - 베이징 빅데이터 전문가자문위원회 발족 - 중점지역에 무선네트워크 구축 - 전자정부 데이터 상호접속 공유플랫폼 구축 - ‘중관촌 빅데이터의 날’ 브랜드 인지도 향상 |
⑥발전 공간구도 | - 북부에 연구개발기지 구축 - 남부에 장비 국산화 기지 구축 - 빅데이터 산업원 3개 구축 - 빅데이터 플랫폼과 프로젝트 50개 정착 - 톈진시에 빅데이터 설비생산기지 구축 - 허베이성에 규모화 응용 서비스기지 구축 - 중국 전역에서 200개의 시범프로젝트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