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6 제조업 4대 발전방향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지능형제조망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1-04
  • 등록일 2016-02-11
  • 권호 63

□ 중국 국무원과 공업정보화부는 2016년 제조업의 4대 발전방향을 지능화, 인터넷 플러스*, 그린성장, 제조업

   서비스화로 제시(’16.1.4)


   * 인터넷 플러스 : 모바일 인터넷,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과 기타 산업간의 융합을 의미


○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이 독일, 일본과 동등한 수준의 제조업 강국으로 발전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


○ (발전방향 1) 지능화


 - 차세대 IT기술과 제조기술의 융합발전을 촉진하고, 지능형 제조를 공업화와 정보화의 결합으로 중점 추진


○ (발전방향 2) 인터넷 플러스


 - 인터넷 플러스를 구현하는 생산형태로 사물인터넷을 제시하였고, 인터넷과 전통업계를 포함한 모든 산업을 융합시켜 새로운 발전

    생태계 창조


○ (발전방향 3) 그린성장


 - 2025년까지 공업 부가가치 단위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5년보다 40% 감축, 공업폐기물 이용률은 79% 달성


 - 3D 프린팅 등 그린생산 모델의 발전을 촉진할 전망


○ (발전방향4) 제조업 서비스화


 - 제조업과 긴밀히 관련된 생산성 서비스업의 발전을 강화하고 서비스 기능구와 서비스플랫폼 구축 추진


 - 인간대체 로봇으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애로사항 해결 

 

<중국제조 2025> 전략


■ (개요) ‘중국제조 2025’는 향후 13차 5개년 계획(2016∼2020)은 물론 향후 10년간 중국 제조업 전략의 기본축이 될 예정

 
  ※ ‘15년 3월 리커창 총리가 전인대 정부업무보고에서 ‘중국제조 2025’를 소개한데이어 5월 국무원 공식 발표


■ (기본방향) 전산업 공동의 혁신능력 제고, 시장 확대, 대외개방 확대 
 - 전체 제조업의 공통과제로 혁신능력제고, 품질제고, 제조업과 정보화의 결합,녹색성장을 4대 과제로 적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