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기초연구 3대 발전 목표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6-01-22
- 등록일 2016-02-29
- 권호 64
□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NSFC) 양웨이(楊衛) 주임은 기초연구를 혁신의 공급주체로 정의하며 기초연구 ‘3대 발전
목표’ 제시(‘16.1.22)
○ 중국의 기초연구비 규모 및 연구성과 수준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나,
- (기초 연구비) ‘14년 613.5억 위안*(11조 5,970억) 달성
* 국가 전체 연구개발비 13,015.6억 위안 중 4.7% 차지
- (과학기술논문) ‘05~’15.9월간 중국 논문 피인용 횟수는 1,287만회, 세계 Top 1% 피인용 논문은 15,011편으로 모두 세계 4위
○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아직은 기초연구의 경제사회내 역할 미흡,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 부족, 국제적 원천혁신 성과 부족 등
현저한 격차가 존재
○ 따라서, 3대 발전목표인 R&D 투자·성과 확대, 세계적 인재 배출, 창조혁신 달성을 제시하여, 혁신형 국가 진입을 위한 과학기반
조성 마련
- 2020년까지 R&D 투입과 산출 총량 과학기술 선진국에 진입, 2030년까지 핵심인재 배출 및 원천혁신 달성 가속화
<기초연구 3대 발전 목표>
구분 | 주요내용 |
R&D 투자·성과 확대 (총량) | - 투입과 산출 총량에서 과학기술 선진국 진입 - 기초연구비의 R&D투자 비중은 현재의 5%에서 10% 달성 - 논문 총피인용 횟수 세계 2위 차지 - 1-3개 분야 세계 1위 |
세계적 인재 배출 (기여) | - 학문분야내 중국 과학자의 주도적 기여 - 매년 10개의 이정표적인 학문분야 프런티어 사업 배출 - 핵심 논문 순위 세계 2위 - 학문분야 프런티어 이슈 5% 이상 형성 |
창조혁신 달성 (원천) | - 세계 과학발전 및 경제사회발전에 중요한 창조혁신 달성 - 원천적 혁신 의미가 있는 중대 성과를 매년 3-5개 배출 |
□ 향후 ‘3대 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차별화된 지원구조, 인재지원기금, 제도관리에 주력할 예정
○ (차별화된 지원구조 구축) 자주적 테마선정 공간 확대 및 자율성 확대
○ (인재지원 기금 체제 개선) 혁신의 주체인 인재를 지원하는 기금관련 체제 개선 필요
- 생애주기별 인재 지원 방식체제에 맞는 자원의 최적화 배분
- 경력별 다양한 인재 지원 모델 구축
<참고: 인재지원기금 목록(‘16)>
(단위: 만 위안)
프로그램명 | 지원대상 | 규모/건당 | 지원기간 |
청년과학기금 | 기초연구경력이 있는 고급직책 소유자 또는 박사학위 청년과학기술인력 (男 35세 이하 , 女 40세 이하) | 20 | 1년 |
지역과학기금 | 국경지역·소수민족지역 등 기초연구 취약 지역과학기술인력 | 40 | 1년 |
우수청년과학기금 | 5∼10년간 연구경력이 있고, 어느정도 연구성과가 있는 청년과학기술인력 | 130 | 3년 |
국가걸출청년과학기금 | 고급직책 소유자 또는 박사학위 청년과학기술인력(45세 이하의 자연과학 기초연구 종사자) | 350 | 5년 |
혁신연구그룹과학기금 | 중국 내 우수 과학자, 청·장년 과학자 연구그룹 | 1,050 | 6년 |
해외 및 홍콩/마카오 우수학자 공동연구기금 | 홍콩과 마카오의 우수 청년학자 | 18 | 120개 2년 |
○ (제도관리) 탁월한 과학기금 관리기관 구축
- 공정한 심사제도, 실적 보상, 다양한 지원방식을 통해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