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7년 회계연도 예산 요구안 제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2-09
  • 등록일 2016-03-14
  • 권호 65

□ 미국 오바마 정부는 ‘17년 총 4.1조 달러(약 4,910조 원) 규모의 2017 회계연도(’16.10.1~‘17.9.30) 예산 요구안을

   의회에 제출(‘16.2.9)


  ※ 미국의 R&D 예산편성 절차 : 부처 예산요구계획서 제출(3-5월), R&D예산편성지침·국가 R&D투자 우선순위 제시(6-8월), 예산

      요구서 제출, 조정, 예산지침서 결정(9-11월), 수정제출 및 대통령 연방연구개발예산안 승인, 의회 제출(12-2월)

 
○ ‘17년 연방정부 R&D 예산은 총 약 1,520억 달러(182조 200억원) 규모로, ’16년도에 비해 4.2%(60억 달러) 증가


○ 기초와 응용연구를 합친 ‘연구(research)’분야의 예산요구액은 전년대비 5.7% 증가한 728억 달러


○ ‘개발(development)’분야의 예산요구액은 전년대비 3.0% 증가한 767억 달러


<2015-2017 부문별 R&D 관련 정부 예산안 (단위: 십억 달러)> 

 

FY 2015

결산

FY 2016

추정(A)

FY 2017 예산안(B)

증감(B-A)

R&D

138.3

146.1

152.3

4.2%

국방부문

71.7

76.6

80.0

4.4%

비국방부문

66.5

69.5

72.4

4.1%

 

 

 

 

 

연구부문

66.0

68.9

72.8

5.7%

국방부문

10.9

10.9

11.8

7.9%

비국방부문

55.2

58.0

61.0

5.2%

 

 

 

 

 

개발부문

69.7

74.5

76.7

3.0%

국방부문

60.5

65.3

67.6

3.5%

비국부문

9.2

9.1

9.1

- 0.8%


○ 부처별로 보면, 국방부 R&D 예산요구액이 728.63억 달러로 가장 높은 예산액이 책정

 
○ 보건복지부는 327.1억 달러, 에너지부 171.6억 달러, 미항공우주국 120.4억 달러로 국방부를 포함한 이들 4개 부처 예산은

    전체의 88% 차지


< 2015-2017 기관별 R&D 관련 정부 예산안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FY 2015

결산

FY 2016

추정(A)

FY 2017 예산안(B)

증감(B-A)

금액

%

국방부

65,547

70,872

72,825

1,953

3%

보건복지부

30,453

31,942

32,714

772

2%

에너지부

14,354

14,405

17,160

2,755

19%

미항공우주국

12,145

12,410

12,043

367

3%

국립과학재단

5,944

6,117

6,529

412

7%

농무부

2,452

2,674

2,923

249

9%

상무부

1,524

1,913

1,888

25

1%

보훈부

1,178

1,220

1,252

32

3%

내무부

863

981

1,082

101

10%

교통부

885

924

1,065

141

15%

국토안보부

919

579

585

6

1%

환경보호청

523

516

530

14

3%

환자중심성과연구기금

396

472

530

58

12%

미국국제개발기구

250

275

287

12

4%

스미소니언 재단

246

250

270

20

8%

교육부

279

242

248

6

2%

기타

320

346

402

56

16%

총액

138,278

146,138

152,333

6,195

4%

 

 

□ 이번 R&D 관련 예산요구안에서는 9대 우선순위 정책분야를 설정하여, 이를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 세부 예산 내역을

   포함


○ 우선순위 분야 : ① 세계최고수준 연구 환경 유지 ② 우주, 사이버보안 등 혁신 투자 ③ 국민 건강 향상 ④ 제조업 혁신 ⑤ 청정

    에너지 개발 ⑥ 기후변화 대응 ⑦ 농업·식품 연구확대 ⑧ STEM 교육 강화 ⑨ 민간 R&D 지원  


<9대 우선순위 정책분야 및 예산> 

분야

세부 예산 (단위: 억 달러)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 유지

국립과학재단(80), 에너지부(57), 국립표준기술연구원(8.26)

우주, 사이버보안 등 혁신 투자

미항공우주국(190),국방부(125),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30), 사이버보안 R&D 민간기관(3.18), 에너지부(2.85), 국립과학재단(0.33)

국민 건강 향상

국립보건원(331), 암문샷계획(7.55), 브레인계획(1.95), 정밀의료계획(3.9)

제조업 혁신을 통한 고용 창출

45개 제조혁신연구소 자금 지원(20)

청정에너지 사회로의 전환

청정에너지 R&D(77)

기후변화 대응

미국국제변화연구프로그램(28)

농업 및 식품 부문 연구 확대

농무부의 농업식품연구계획(7)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교육 강화

STEM 교육(30) 모두를 위한 컴퓨터과학(40)

민간부문 R&D 지원

연구실험 및 세액공제의 간소화 및 확대

 


【국립과학재단(NSF)】


 □ R&D 기관인 국립과학재단(NSF)의 2017년 정부예산은 R&D 예산 65억 달러, 비R&D 예산 15억 달러를 합쳐

    총 80억 달러(9조 5,800억원)로 책정


○ 재량지출* 예산은 76.6억 달러, 의무지출 예산(신규)은 4억 달러로, 의무지출액*은 기초연구분야 등 신진연구자 지원에 사용될

    예정


  * 재량지출은 매년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지출로 행정부에서 재량으로 집행하는 국방지출과 비국방지출로 구분되며 R&D예산은

    국방, 비국방 각각에 포함됨


 ** 의무지출은 사회보장, 의료, 이자지출 등 사실상 축소가 어려운 경직성 지출을 의미

 
○ 주요 연구주제별 R&D 지원 예산은 다음과 같음

 
 - 청정에너지 기술개발 : 5.12억 달러


 - 뇌 과학연구 : 1.42억 달러


 - INFEWS* 프로그램 : 6,200만 달러


  * Innovations at the Nexus of Food, Energy and Water Systems: 식품, 에너지, 수자원 시스템 간의 연관관계를 연구하여 관련

    자원의 효과적 관리 지원을 목표로 하는 연구 프로그램


 - 자연 재해 및 대응 프로그램 : 4,300만 달러


 - INCLUDES* 프로그램 : 1,600만 달러


  * Inclusion Across the National of Communities of Learners that have been Underrepresented for Diversity in Engineering

    and Science : 과학 분야에서 소외된 여성 및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 확대 및 연구 참여 지원 



출처 : 과학기술정책실 (2016.2.9)https://www.whitehouse.gov/sites/default/files/microsites/ostp/ostp_fact_sheet_2017_budget_final.pdf
https://www.whitehouse.gov/sites/default/files/microsites/ostp/fy_17_ostp_slide_deck.pdf
http://www.whitehouse.gov/sites/default/files/omb/budget/fy2017/assets/ap_19_research.pdf
http://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7611&org=NSF&from=news
https://www.nsf.gov/pubs/2016/nsf16034/nsf16034.pdf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