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중점 연구개발 계획 본격 착수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2-17
- 등록일 2016-03-14
- 권호 65
□ 과학기술부는 기존 핵심과학기술계획을 통합한 국가중점연구개발 분야를 제시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16.2.17)
○ (배경) ‘14년 말 중앙재정과기계획(전문프로젝트, 기금 등) 관리개혁 후, 과기계획의 제약을 없애고 혁신적 발전을 선도하며
자금의 효율을 높이고자 함
※ 기존 973계획(기초연구), 863계획(첨단기술), 국가 과학기술중점계획, 국가 과학기술협력교류전문프로젝트, 국가발전개혁
위원회와 공업정보화부가 관리하는 산업기술 연구와 개발자금 및 공공기관 과학연구 전문 프로젝트를 총괄 통합
- 각 부처가 관리하는 100여개 국가과학기술계획을 5대 유형*으로 전면 통합하여 중복 지원 방지
* ① 국가자연과학기금, ② 국가과학기술중대전문프로젝트, ③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④ 기술혁신유도전문프로젝트(기금),
⑤ 기지와 인재 전문프로젝트로 통합하기로 결정
○ (목표) 특히,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은 국민경제와 사회발전의 중대과학기술 핵심문제 해결을 목표로 추진
- 국가경제 및 국민생활과 관련되는 농업, 에너지자원, 생태환경, 건강 등 분야에서 장기적 발전이 요구되는 중대한 사회 공익성
연구
- 산업 핵심경쟁력, 자주혁신능력 및 국가안전 관련 중대한 과학문제, 핵심기술과 제품, 국제과학기술협력
□ 과학기술부는 총 59개 중점 프로젝트 중 우선 추진분야인 25개 중점전문 프로젝트부터 사업 공고
○ (프론티어·농업) 나노과학기술, 양자제어 및 양자정보, 거대연구장비, 식량 다수확 과학기술혁신 등 9개 분야
○ (첨단기술) 고성능 컴퓨팅, 전략적 첨단전자소재 등 3개 분야
○ (자원탐사·안전) 심해 핵심기술, 수자원 고효율 개발, 그린건축, 공공안전 위험방지와 응급기술 등 6개 분야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중점전문프로젝트 추진 분야 >
□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은 국가 전략적 목표에 초점을 두어 조직적으로 관리 예정
○ 과기부, 재정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31개 관계부처로 구성된 범부처 연석회의에서 발전전략 심의
○ 프로젝트 관리 전문시범기관으로 부처 산하기관인 7개 연구관리기관*을 선정하여 각 중점전문프로젝트의 접수·심사·평가 진행
* 과기부(4), 농업부(1), 공업신식화부(1),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1) 산하기관으로 구성
출처 : 중국 과기망 (2016.2.17)
http://www.wokeji.com/kbjh/zxbd_10031/201602/t20160217_2233995.shtml
http://tech.southcn.com/t/2016-02/17/content_142516675.htm
http://finance.sina.com.cn/roll/2016-02-17/doc-ifxpmpqt1353792.shtml?qq-pf-to=pcqq.discussion
http://www.360doc.com/content/16/0221/06/8268174_536105190.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