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2024년까지 국제우주정거장 운용 연장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4-01-08
- 등록일 2014-01-24
- 권호 15
□ 미국 정부는 워싱턴에서 개최된 미래우주탐사에 대한 회담을 통해 국제우주정거장(ISS*)을 2024년까지 연장
운용할 것을 승인
○ ISS 운용 연장에 따라 앞으로 美 항공우주국(NASA) 및 국제우주연구 커뮤니티의 주요한 연구목표가 달성될 것으로 전망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1992년 미국이 주도한 국제우주정거장 ‘알파’ 건설 계획 아래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우주
기구(ESA) 산하 11개국과 일본, 러시아 등 15개국이 파트너로 참여하여 350km 지구 상공에 건설한 다목적 대형 구조물로
현재 68개 국가에서 ISS를 이용 중
□ ISS 운용이 연장됨에 따라서 지구과학·우주과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
○ 앞으로 5년 동안 지구과학 및 우주과학 장비를 설치하여 2024년까지 장기적으로 지구와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할 계획
- 저지구궤도(low-earth-orbit)를 넘는 장기계획연구를 실시함으로써 2025년까지 소행성, 2030년대까지 화성에 대한 연구의
기틀 마련
○ 지금까지 우주정거장에서 이루어진 의학적으로 의미있는 연구들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회적 이익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짐
※ 대표적인 의학적 사례 : 살모넬라와 박테리아의 항생제 내성 변종을 위한 백신 개발, 표적 세포에 암 치료 물질을 전달하는
마이크로 캡슐화 기술 등
○ NASA와 민간 분야 파트너들에게 상업적 우주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상업적 우주산업에는 차세대 중량(heavy-lift) 로켓과 승무원 캡슐 개발, 저지구궤도에서의 승무원 비행 등이 포함
※ 오바마 행정부는 2017년에 첫 번째 상업적 승무원 비행을 계획하고 있음
□ 2024년까지 ISS 운용 연장은 미국이 우주강국으로 세계 리더의 지위를 유지하고 민간 파트너들의 투자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