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 전략계획’공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2-19
  • 등록일 2016-03-28
  • 권호 66

□ 미국 상무부(DOC)는 국가 차원의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NNMI)* 사업의 비전과 목표를 포함한 ‘국가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 전략계획’을 공표(‘16.2.19)


 
* National Network of Manufacturing Innovation


○ (배경) 미국 제조업의 위기 대응방안으로, 첨단제조업 육성을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활용 촉진 및 기술기반 산업 관련 인프라

    조성

 
  ※ 미국경쟁력위원회에서 매년 발표하는 ‘2016년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미국이 중국을 제치고

      제조업 경쟁력 1위를 탈환할 것으로 전망


○ NNMI는 산업체가 당면한 문제 해결책을 산업계와 학계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협력체로, 특정 주제의 제조업혁신센터(MII)*로

    구성


 * Manufacturing Innovation Institute


○ 현재 7개의 국립 제조업 혁신센터가 운영 중이며, ‘16년 말까지 15개, 향후 10년간 45개까지 확대될 예정 


<제조업 혁신센터 > 

센터명

설립년도

주요 연구 분야

예산(만달러)

아메리카 메이크(America Makes)

‘12. 8

3D 프린팅, 적층가공

50,000

DMDII(Digital Manufacturing and
Design Innovation Institute)

‘14. 2

디지털 제조 및 설계

7,000

LIFT(Lightweight Innovations for
Tomorrow)

‘14. 2

경량 금속 제조

7,000

파워아메리카(PowerAmerica)

‘14. 12

와이드 밴드갭 반도체 기술

7,000

IACMI(Institute for Advanced Composites Manufacturing Innovation)

‘15. 6

폴리머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

7,000

AIM 포토닉스

‘15. 7

집적 광자 제조

11,000

NextFlex(Flexible Hybrid Electronics Manufacturing Innovation Institute)

‘15. 8

플렉시블 전자 장비 및 센서

7,500

Revolutionary Fibers and Textiles

-

섬유· 직물

‘16년 예산 요청 중

Manufacturing Innovation Institute on Smart Manufacturing

-

스마트 제조

‘16년 예산 요청 중

 

 

□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 전략계획은 비전, 미션, 4대 목표로 구성 

 

< NNMI 프로그램 기본방향 > 

비전

 

미국 제조업 국제 리더십 제고

 

 

 

미션

 

사람, 아이디어, 기술간 연계를 통한 경제 발전, 국가 안보 강화

 

 

 

목표

 

국제경쟁력 강화 : 공급사슬 네트워크 구축

기술개발 : 혁신적 기술 확장 및 고효율적인 제조역량 전환

인력 양성 : 첨단 제조업 인력 공급 강화

안정적 운영 : 참여센터의 지속가능한 운영 지원을 위한 사업모델 수립


 
○ (국제경쟁력 강화) 산·학·연 협력 촉진을 통해 부품, 인력, 기술을 적절히 제공하는 공급사슬(supply chain) 네트워크 구축


 - 제조업 경쟁력 주요 요인*으로 인재주도 혁신**, 공급자 네트워크, 사회 인프라, 에너지 비용 및 정책, 지역시장 매력도, 제조업

   혁신 정부투자 등 6개 요인 강조


 * 미국경쟁력위원회가 발표한 10개 제조업 경쟁력 주요요인 중 6개 핵심 요인 선정


 **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에서 수학과학성적, 인구당 특허건수, 인구당 연구인력, 인시아드

     (INSEAD)에서 만든 혁신지수 종합


○ (기술개발) 검증된 제조기술·장비·기술자문 제공, 첨단제조 산업 문제해결책 공유 및 문서화 촉진, 표준 제시 및 첨단 제조업

    지원 서비스 개발


○ (인력양성) 미래 인력자원 육성,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과정 지원 확대, 연구자, 엔지니어 등 첨단 고급인력 육성을 위한 인턴십,

    훈련 기회 제공 등

 
○ 제조업 혁신센터별 혁신 생태계 내 각 기관들이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안정적 지역혁신생태계 구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