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급성장하는 중국 모바일 게임시장, 최근 트렌드에 주목해야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I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5-09-01
  • 등록일 2016-03-28
  • 권호 66

□ 각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중국 게임 시장이 크게 성장


○ (IDC) ’14년 중국 게임 시장 매출액은 전년(831억 7,000만 위안) 대비 37.6% 증가한 1,144억 8,000만 위안에 달했으며 ’15~’19년 간

    15.4%의 CAGR이 예상


 * 게임 시장은 PC온라인, PC콘솔, 모바일 포함


< 중국 게임 시장 구조 및 매출액 비율 > 

 

 

                         ※ 자료 : IDC, ’15.9(’14기준)

○ (NIKO) ’15년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 매출액은 55억 달러로 ’14년(33억 달러) 대비 크게 증가했으며 ’19년 1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관측


 * 특히 모바일게임 이용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해 ’15년 4억 2,000명으로 예상


○ (NEWZOO) ’15년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중국 65억 달러(전년대비 46.5%↑), 일본 62억 달러(5.8%↑), 미국 60억 달러(15.2%↑)

    순으로 예상


○ 한편, ’15년 중국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는 790만 명(전년대비 8.4% 증가)에서 ’18년 890만 명으로 관측됨에 따라 모바일 게임

    이용자 수도 동반 성장할 전망(易观智库, 2.22)

 


□ ’16년은 ’90년대 이후 신세대를 겨냥한 ‘뉴미디어 마케팅’이 부상할 전망


○ 자오 유 리 ‘치후360’ 부사장과 후웨이 ‘킹소프트’ 공동창업자는 ‘K-게임 비즈니스 콘퍼런스(2.23)’에서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해 논의


○ 현재 ’90년대 이후 출생한 신세대가 모바일게임 시장의 새로운 소비자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위한 마케팅으로 온라인

    팝캐스트 등 뉴미디어를 활용하는 전략이 활발히 진행


○ 국내는 모바일 게임 중심으로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넥슨‧넷마블 등 대형 게임사가 ’15년에 좋은 실적을

    거두면서 모바일 게임이 새로운 먹거리로 급부상


 - 유통구조가 단순화된 모바일게임 시장으로 시장이 재편되면서 구글플레이‧애플 앱스토어 등 플랫폼에서 먼저 흥행작을 낸

    게임사는 비교적 진출이 용이


 - 이에 대형 배급사가 모바일게임 해외 진출에 집중해 중소개발사와 함께하는 선단형 수출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


○ 한편 국내 게임사 또한 중국 현지 트렌드인 △모바일게임의 명품화 △’90년대 이후 세대를 겨냥한 뉴미디어 마케팅 △e스포츠

    열풍 △게임의 엔터테인먼트화 등에 주목할 필요 

 

 


출처 : IDC (2015.9.) 외
http://nikopartners.com/wp-content/uploads/2015/08/Niko-Press-release_-2015-Chinese-Mobile-Games-Revenue-to-Surpass-US-Market-Size.pdf (2015.8.31)
https://newzoo.com/wp-content/uploads/2011/06/Newzoo_T11_Beijing_FINAL_Public.pdf (2015.9.10)
http://www.analysys.cn/yjgd/16972.shtml (2016.2.22)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22402101231102001 (2016.2.23)
http://www.etnews.com/20160216000048 (2016.2.16)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