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新성장동력 위해 제조업 등 2차 산업에 SW결합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3-09
- 등록일 2016-04-11
- 권호 67
□ 2차 산업에 혁신을 추진할 수 있는 ‘장강 경제벨트’ 산업구조조정 촉진 방안 발표
○ 리커창 총리는 동부 연안 경제 개발을 위해 ‘장강경제벨트 발전지도의견(长江经济带发展指导意见)’과 ‘장강경제벨트 종합입체
교통회랑규획(2014~2020년)(长江经济带综合立体交通走廊)’을 발표(’14.9.25)
- 장강 경제벨트는 단순한 토목형 투자가 아닌 각 유역과 단지별로 서로 다른 컨셉의 산업을 재배치하고 특성화할 목적으로 계획
- 장강은 위치적으로 수로 주변 11개 구역과 연결이 가능하고 전국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18%, 인구 36%, GDP 37%로 중국
최대의 경제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어 경제개발지역으로 선정
투자 영역 | 투자 내용 |
기초 인프라 건설 | 수력발전소, 항구, 도로, 교량, 고속철도, 공항, 홍수방지 토목공사, 배수 공사 등 |
물류 | 물류단지 건설, 물류정보시스템 개발 등 |
신형도시화 | 주택, 의료, 양로, 오수 처리, 도시쓰레기 처리, 사회서비스업 등 |
생태환경보호 |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절약, 환경보호, 생태복원, 친환경 농업 등 |
첨단기술 | 의료, 교육, 양로 분야의 클라우딩 컴퓨팅 서비스, 사물인터넷, 분자진단 현대생물공학기술 등 |
농업현대화 | 친환경농업, 농업기계, 농업기술발전, 농업정보시스템 개발, 농업법률 컨설팅 등 |
※ 자료 : CSF, ’15.6.29
○ 기존 장강 경제벨트 정책에 SW 부문을 더해 기존 산업형태에서 나아가 산업 융합을 촉진하는 방안을 발표(3.9)
- ’14년 발표돼 추진 중인 장강 경제벨트 정책은 중국 정부가 산업기지 육성을 위해 장강과 인접한 9개성(省)과 2개의
직할시(市)를 연계해 발전시키는 것이 골자
* ①귀저우(贵州)성 ②장쑤(江苏)성 ③저장(浙江)성 ④안후이(安徽)성 ⑤장시(江西)성 ⑥후베이(湖北)성 ⑦후난(湖南)성
⑧쓰촨(四川)성 ⑨윈난(云南)성 ⑩충칭(重庆)시 ⑪상하이(上海)시
○ 중국 정부 산하 기관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SDPC)‧과학기술부‧공업정보화부가 합동으로 진행하며 장강 경제권 내 SW 연구
개발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도 포함
- SW 연구개발 지역으로 유명한 7개 지역을 중심으로 SW업체를 지원해 SW상품 산업화를 확대
* ①상하이(上海) ②난징(南京) ③우한(武汉) ④청두(成都) ⑤창사(长沙) ⑥항저우(杭州) ⑦충칭(重庆)
< 장강경제벨트, 2020년 도달 목표 >
구별 | 전국에서 장강경제벨트지역의 비중 | 2014 | 2017 | 2020 |
혁신능력 | 공업기업 발명특허 수 | 44.8% | 49% | 53% |
신상품 판매수입 | 51% | 54% | 59% | |
연구개발의 GDP 비중 | 1.47% | 2.1% | 2.5% | |
산업구조 | 전략적 신흥산업의 GDP 비중 | 7% | 12% | 17% |
서비스업 증가치의 GDP 비중 | 44% | 51% | 54% | |
경제총량 | 41.6% | 42% | 43% | |
경제개발 | 수출산업규모(천억 달러) | 10.7 | 12 | 15 |
주민 평균 소비수준(만 위안) | 1.85 | 2.2 | 2.7 |
주) 중국통계연감(中国统计年鉴, ’11~’14) 기준으로 추정
※ 자료 : SDPC, 3.9
- 일반 SW와 임베디드 SW, SW기술 서비스 중심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SW 부문에서 중요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강
경제벨트 내에 지식재산권교역센터 설립도 추진
○ 이러한 지역통합개발 사업의 본격화를 통해 기초 인프라건설, 물류, 신형 도시화, 생태환경보호, 첨단기술, 농업 현대화 분야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전망
- 또한 기존 경제벨트 내 산업과 연계해 상승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