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6년도 ‘전략적 창조연구 추진사업’전략목표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3-23
  • 등록일 2016-04-25
  • 권호 68

□ 문부과학성은 ‘16년도 ‘전략적 창조연구 추진사업’* 전략목표 및 ‘혁신적 첨단연구개발지원사업’** 연구개발목표를

   채택(‘16.3.23)

  * 전략적 창조연구 추진사업: ‘02년부터 착수하여 top-down 방식으로 전략목표 및 연구영역을 결정하고 JST(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에서 공모를 통해 추진(연간 예산 467억엔)


 ** 혁신적 첨단연구개발지원사업: 의료기술 창출을 위해 ’15년부터 top-down 방식으로 전략목표를 결정하고 AMED(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에서 공모를 통해 추진(연간 예산 7억 8천만엔)

○ 도전적이고 위험이 큰 혁신적 연구과제를 채택하여 연구자에게 자유로운 연구를 장려 

 

□ 전략적 창조연구 추진사업의 전략목표로 ①광조작기술 개발 및 생명기능메커니즘 규명, ②계측기술과 고도정보처리

   융합, ③양자상태의 고도제어를 활용한 새로운 물리적 특성 및 정보과학 프론티어 개척을 제시


<전략적 창조연구추진사업 전략목표> 

전략목표

세부 목표

광조작기술 개발과 생명기능메커니즘

o 광조작에 의해 표출되는 계측기술 및 분석기술 개발

o 다양한 세포 및 조직 등 생명기능메커니즘 규명

계측기술과 고도정보처리 융합

o 계측대상의 특징량 분석기술 구축

o 새로운 계측·분석기술 구출

양자상태의 고도제어를 활용한 새로운 물리적 특성 및 프론티어 개척

o 양자정보처리·시뮬레이션 고도화에 따라 복잡한 양자계의 실험적 분석

   기반 구축 및 대규모 에너지절약 정보처리 요소기술 실현

o 기존 기술분야(포토닉스, 일렉트로닉스 등)의 발전적 융합·기술혁신

   촉진

o 기존의 정밀도·감도의 한계를 넘어선 센싱·이미징 기술 혁신 도모





[참고1] 전략적 창조연구추진사업 

 



□ 혁신적 첨단연구개발지원사업 연구목표로 숙주와 미생물총간의 상호작용·공생의 규명과 건강·의료분야에서의 응용

   제시


○ 세부 목표로 미생물총 분석기술 고도화, 숙주-미생물총간 상호작용, 질환 발병 메커니즘 규명, 인간미생물총에 착안한 예방·

    진단·치료기술 창출 


[참고2] 혁신적 첨단연구개발지원사업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