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혁신형 중소기업 금융지원 정책 구상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 투자은행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03-31
  • 등록일 2016-04-25
  • 권호 68

□ EU집행위원회(EC)와 유럽투자은행(EIB)은 핵심기술(KET)*을 보유한 혁신형 중소기업의 금융지원 정책 마련을

   위한 정책을 제언(‘16.3.31)

 
  * Key Enabling Technology


○ 유럽의 다양한 시장 환경에 따라, 혁신형 기업을 대상으로 보다 목표 지향적이고 고위험 지향적인 금융지원책 마련이 필요


 ※ 만 여개의 KET 보유 중소기업 중 매출 3백만∼3억 유로, 특허 및 R&D 중심의 249개 기업 조사, 16명의 시니어 금융전문가와

     인터뷰 추진

 


□ 조사결과, 전체 30%의 혁신형 중소기업은 채권 금융(debt financing)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웠고, 과반수 이상의

   기업들이 미래 성장과 혁신투자를 위한 재정 혜택이 미흡한 것으로 도출


○ 유럽 금융시장은 혁신기업을 선호하지 않아, 재정지원이 매우 제한적임


 - 혁신형 중소기업은 위험가능성이 높아 민간 금융시장에서 원활한 자금조달이 쉽지 않으므로 공공부문의 적극적 재정 지원이

   필요


○ 혁신 기업에 대한 단계별 적절한 지원 대책 필요


 - 고위험 감수가 필요한 포스트스타트업 및 약진기업은 차등화 된 지원책 필요 


<기업 단계별 특징> 

단계

특징

포스트스타트업

(Post Start-ups)

R&D 단계를 지난 초창기 기업으로, 수익은 발생하나 아직 불안정한 단계

약진 기업(Quantum leap Companies)

다양한 규모의 핵심기술 보유기업들이나, 대량생산을 위한 설비투자가 필요하여 상당한 부채가 필요

안정된 혁신 기업(Well-estblished innovators)

비교적 큰 규모의 혁신기업으로, 고정적 매출창출 및 시장내 안정된 단계

 


 - 세계적 핵심기술 보유 국가들의 금융지원책을 살펴본 결과, 고위험 감수 부채 지원, 특정자산 중심 프로그램, 금융지원과

   자문제공 등이 가장 효과적임


 - 단순한 금융정책 개발만으로는 기업-은행간 상호 이해가 부족하므로, 기업가와 투자자간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참여자들간의

   협력이 필요

 


□ 향후 중소기업의 성공적 시장 진입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을 위해 중단기 정책적 조언을 제시 

 
【단기적 조치】


○ 유럽투자자문허브를 통해 잠재적 이용자들에게 유럽투자은행 및 EU집행위원회 서비스 홍보

 
○ 이미 성숙된 혁신기업들을 위한 안정적 파트너 역할 유지


 - 기존 공공 기술투자자들에게 대출지원서비스 증대


○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대출프로세스를 위한 기존 내부 절차 검토

 


 【장기적 조치】


○ 핵심 기술분야별 서비스 지원


○ 기존 EFSI 자원을 활용하여 보다 목표지향적 금융지원책 개발


 ※ The European Fund for Strategic Investment와 InnoFun (EU finance for innovators): EU 집행위원장의 주창으로 신설된

     유럽의 사회기반시설투자기금


 - 상업화단계 및 대규모 투자 계획 단계에서 자본 또는 자본형태의 부채 제공


 - 고성장·신생 혁신기업대상 벤처 부채 제공


○ 특허 부채금융 담보물 인정 가능성 조사


○ 혁신기업 투자 장애요인 및 금융지원 규제 검토


○ 유럽투자 프로젝트 포탈 컨텐츠와 사용자환경을 검토하고 최적의 펀드제공 관례를 소개하는 플랫폼 마련


○ 국가차원의 혁신기업 투자상품 활성화 적극 지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