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 증가 예측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3-09-13
- 등록일 2013-08-27
- 권호 6
* Information Technology & Innovation Foundation : 기술적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공공정책을 수립?추진하기 위한 비영리 정책연구소로 2006년 설립
** 제조업 인건비의 낮은 증가율과 저렴한 에너지 비용으로 제조비용이 감소해 미국 제조업의 부활을 이끌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The U.S. as One of the Developed World’s Lowest-Cost Manufacturers)를 발표
○ BCG는 중국으로 이전되었던 제조업 설비들이 자국으로 되돌아옴에 따라 미국 제조업이 2020년까지 최소 250만에서 500만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2013.8.20)
○ 미국의 제조업 강국 부활과 제조업의 새로운 일자리 제공에 대한 잠재력 측면에서 BCG의 예측에 동의하지만 이는 제조비용 감소만으로는 불가능함을 주장
- 제조비용의 감소만으로는 무공장(fabless) 반도체 칩에서 LCD 화면과 리튬 폴리머 배터리 등에 이르는 최첨단기술 제품의 생산을 위한 미국 산업 공유재(industrial commons)*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데 한계가 존재
* 공급자 네트워크, 작업장, 기술 영역과 관련된 교육 인프라 등을 지칭
- 또한 중국 및 인도와 같은 국가들이 자국의 시장 접근을 위해서 자국 내에서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는 현지화 장벽(localization barrier) 등의 관행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움
○ 기술, 세금, 무역, 재능(talent)을 중심으로 한 정책을 수립하여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법인세 인하, 연구개발 및 공공-민간 파트너십에 대한 투자 등 국가차원의 노력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