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15년도 대학 벤처기업 조사’ 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6-04-08
- 등록일 2016-05-09
- 권호 69
□ 경제산업성은 대학벤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15년도 대학 벤처기업 조사」결과를 발표(’16.4.8)
○ 대학벤처 현황조사* 및 대학벤처 세부조사**로 2차에 걸쳐 추진
- (현황조사) 대학벤처 설립추이, 실적, 업종 분포 등 현황 파악
※ 응답률 47.2%(1,273부 발송, 601부 회수)
- (세부조사) 현황조사대학벤처의 성장요인으로 도출된 9개의 정책을 상세 분석하기 위해 23개의 정책으로 세분화하여설문조사 실시
※ 응답률 17.7%(1,773부 발송, 601부 회수)
○ ’15년도 대학벤처는 1,773개로 전년대비(1,749개) 다소 증가하였고,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전년대비(43.1%) 55.6%로 증가
< ’15년도 대학벤처 규모 >
○ 업종별 분포는 IT(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바이오·헬스케어, 의료기기가 대다수를 차지
< 벤처기업 업종별 분포 >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바이오 | 환경기술· 의료기술 | 화학·자재등 자연과학 분야 | 제조업 | 기타 서비스 | 합계 |
555 | 169 | 540 | 211 | 178 | 378 | 467 | 2,498 |
※ 기업별 중복 분야 허용
□ 대학벤처의 성장요인 정책으로 23개를 세분화하여 관련정책과 성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1개의 중요
정책이 도출
< 대학벤처 성장과 관련된 중요정책 >
○ 대학벤처의 성장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중요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외부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정책과
외부 지원이 필요한 정책으로 구분하여 정책 방향 조언
① 외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대학벤처 경영자가 주체적으로 실시하는게 효과적인 정책
- 경영인재(공동설립자·간부사원·조언자 등)를 체제에 영입
- 업계의 연구개발 경험자를 사외로부터 초빙, 또는 조언자로서 체제에 영입
② 외부에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받는 것이 효과적인 정책
- 외부 기관 및 개인의 조언을 반영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
- 업계의 영업판매경험자를 사외에서 초빙하거나 조언자로서 체제에 영입은 외부의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