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탁월대학원’에 관한 기본적 구상(안) 심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6-04-12
  • 등록일 2016-05-09
  • 권호 69

□ 문부과학성은 새로운 지식 창조를 위한 박사인력 육성을 목적으로 「탁월대학원(가칭)에 대한 기본적 구상(안)」

   심의(’16.4.12)


○ 새로운 지식의 창조와 활용을 주도하고, 차세대 가치 창출 및 사회적 과제 해결을 위한 박사인재 육성 필요


 - 우수 인재들이 박사진학을 기피하는 현상을 막고, 지금까지 축적된 인재 및 연구분야의 강점을 발휘


 - 일본 뿐 아니라 아시아 및 전 세계 우수한 인재 유치


○ 동 분야 주제를 연구하는 대학교수 및 대학원생간 기존의 틀을 넘어 탄력적 추진방법을 제안하고, ’18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행할 예정 


< 탁월대학원 사업 지원 방향 >  

구분

내용

기관 연계

타대학, 민간기업, 국립연구개발법인, 해외 대학 등과 연계할 경우, 자유로운 구상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 인정

지원 방법

국공립·사립 대학이 신청할 수 있으며, 경쟁적 심사 필요

사업 기간

10

연구분야

o 일본이 국제적 우위성·탁월성을 보인 학문

o 사회에서 다양한 가치 및 시스템을 창조하는 문·이과융합 및 학술영역

o 미래 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신산업 창출 영역

o 전 세계적으로 학술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영역

중복 신청 가능

 

 

□ 탁월대학원을 통해 국제적 수준의 연구, 세계 최고수준의 젊은 인재 유치 및 우수 젊은 교수 확보 등을 기대


○ 석·박사 통합프로그램(5년)하에 체계적 교육과정 편성 및 일본 박사학위의 국제적 신뢰성 확보


  * 논문 기초력 심사제도(QE) 및 박사학위수요 심사(FE)를 통해 수준 검증


○ 우수 학생의 생활비에 상당하는 경제적 지원, 석사학위 보유 우수한 직장인 박사취득 장려, 우수한 젊은 교수 확보


 - ‘탁월연구원’제도* , 연구원 이중고용계약(Cross Appointment)제도 활용


  * 문부과학성은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는 젊은 연구자가 안정적이고 자립적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고용기관에 연구비를 지원


○ 기업측의 박사학위 소지자 채용 및 활용 확대


○ 문부과학성은 심사시 ‘프로그램위원회(가칭)’을 설치하고 신중하게 검토할 계획


 - 5년 되는 시점에 중간평가를 실시하고, 최종년도에 사후평가를 실시


 - 평가 체제에 추진상황 파악 및 조언 등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전문가 (Program Officer) 배치 검토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