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공학교육 혁신을 위한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영국 공학한림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6-04-12
- 등록일 2016-05-09
- 권호 69
□ 영국 기계공학연구소 및 공학한림원(Royal Academy of Engineering)은 공학교육 혁신 보고서*를 발표(’16.4.12)
* Big ideas: the future of engineering in schools
○ 빅 아이디어 프로젝트를 통해 획기적 제안 및 이해당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영국 공학교육의 미래 전략비전을 제시
※ 현재의 공학기술자 인력 부족이 지속되면 향후 연간 270억 파운드의 추가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
- 조사 결과, 대부분 공학이 고차원적이고, 지능적인 설계 및 개발에 가진 중요성 인지가 부족했으나, 설계와 제작 교육 강화에
대한 강한 지지를 표명
※ 교사·학부모·청소년·기업인·공학자 등 이해당사자 2,493명을 대상으로 설문
- 공학이 남자 위주의 과목이라는 인식과 여성 역할모델 부재가 여학생들의 과목 선택의 방해요인으로 도출
- 공학의 사회적 가치, 창의성, 설계 측면을 강조하고, 과학·수학 수업에 공학교육을 포함하면 학생들의 흥미가 유발할 것이라는
평가
□ 공학교육 혁신 목표 및 향후 추진과제를 제시
< 공학교육 혁신 목표 >
구분 | 특징 |
1 | 사람 중심·문제해결이 가능하며, 사회에 도움을 주는 공학 학문 홍보 |
2 | 초등학교 이후 교육과정에 걸쳐 공학과 연계된 세계(made world) 인식 제고 |
3 | 견습공제도(apprenticeship) 등 기술분야 직업경로를 통해 고숙련 기술자 배출 |
4 | 유연한 입학 조건을 마련해 공학 분야 학위 취득 경로 확대 |
5 | 만 18세 이하를 대상으로 다양한 커리큘럼 공학 교육 실시 |
6 | STEM 교육에서 문제기반 학습에 중점 |
7 | 모든 청소년들이 공학적 사고에 익숙하도록 양성 |
8 | 학제간 집단 협업을 통해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한 공간 및 기회 확대 |
9 | STEM과 창조적 디자인을 융합하여 공학의 중요성을 높이는 플랫폼 |
10 | 모든 교육단계에 공학이 포함되도록 학교 교육 시스템 개선 |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7개 실천사항은 다음과 같음
< 공학교육 혁신 실천 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