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경쟁력 강화법> 개혁 요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5-11
  • 등록일 2016-06-07
  • 권호 71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로버트 애킨스 회장은 상원 통상위원회에서 기술 사업화 관련 미국 경쟁력 강화법(America

   COMPETES Act)*을 개선하고 재승인할 것을 요구(’16.5.)


 - 예산지원 중심의 연방정부 R&D 전략에서 벗어나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책 필요  


<*미국 경쟁력 강화법 (America COMPETES Act)> 

구분

내용

법안명

America Creating Opportunities to Meaningfully Promote Excellence in Technology, Education and Science Act

목표

혁신 R&D에 대한 투자 확대 및 미국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주요 내용

혁신 R&D에 대한 투자 확대, STEM 과목에 대한 교육 강화, 혁신을 위한 사회 기반 시설 확충


○ 국가 R&D 지원이 기초·응용연구로 집중되고 있어, 기술개발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모든 기술혁신 활동이 미흡한 현실


 - NSF의 R&D 지원 예산 중 2%만이 산학협동 연구와 사업화를 연계


 - R&D 예산 기준 상위 30개 대학의 R&D 예산내 기업 비중을 보면, 대학간 산학협력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남 


<상위 30개 대학의 R&D 예산에서 차지하는 기업 비중 (%) > 

순위

대학명

기업

비중

(%)

순위

대학명

기업

비중

(%)

1

듀크대

17.8

16

컬럼비아대

4.8

2

오하이오주립대

13.9

17

서던캘리포니아대

4.4

3

MIT

13.6

18

펜실베이니아주립대

4.2

4

캘리포니아주립대-버클리

12.6

19

예일대

4.1

5

텍사스주립대

9.1

20

하버드대

3.8

6

스탠포드대

7.5

21

플로리다주립대

3.6

7

펜실베이니아대

6.5

22

워싱턴주립대-시애틀

3.5

8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6.5

23

미시건주립대-앤아버

3.5

9

캘리포니아주립대-샌디에고

6.4

24

코넬대

3.5

10

텍사스A&M

6.4

25

미네소타주립대

3.4

11

조지아공과대

6.3

26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채플힐

2.9

12

캘리포니아주립대-데이비스

6.0

27

노스웨스턴대

2.5

13

일리노이주립대-어바나샴페인

5.7

28

존스홉킨스대

2.2

14

캘리포니아주립대-로스앤젤레스

5.5

29

위스컨신주립대-매디슨

2.0

15

캘리포니아주립대-샌프란시스코

5.4

30

피츠버그대

1.4

※ 출처: 국립과학공학통계센터(NCSES),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Survey, FY 2013 

 

○ 그 외, 산업규제, 정보탐색 비용, 기술적 복잡성 등도 기술 사업화 장애요인으로 작용

 

 

□ 정책 방안으로 기술사업화 및 지역혁신 프로그램 예산 확대, 제조업 특성화 대학 지정 등을 제시 


 
【예산확대】  

 

○ 산학협력 등 기술사업화 및 지역혁신 프로그램 예산 확대


 - 연방연구소와 대학간 기술이전 프로그램에 500만 달러 투자


 - 미국경쟁력 강화법에 명시된 1,500만 달러를 넘는 7,500만 달러 규모로 개선


○ NSF의 예산중 공학연구센터(ERC)와 산학협력연구센터(IUCRC)의 관련 예산 비중 확대


  ※ ERC와 IUCRC는 기업 혁신비용을 평균 70만 달러 절감시켜주는 것으로 평가

 
○ 국가전략컴퓨팅 계획(NSCI)에 대한 예산을 정부 신청안대로 처리


 - 3억 2,500만 달러 수준의 정부 예산 신청안 통과

 

 

【제도개선】


○ 제조업 교육과 산학협력에 집중하는 제조업 특성화 대학 지정 및 지원


  ※ 연간 최대 500만 달러를 4년간 제공


○ NSF의 ‘청년 과학자 창업지원 프로그램’(I-Corps)을 법안에 포함


○ 중소기업혁신연구 프로그램(SBIR) 개선


  ※ 지원 예산 중 5%를 기술사업화 부문에 할당


○ NIST의 제조확대 파트너십(MEP) 프로그램 지원 확대


  ※ 기존 1억 3,000만 달러 수준의 프로그램을 2억 6,000만 달러 수준으로 예산 확보


○ 이민제도 및 교육제도 개선을 통해 STEM 인력 공급 확대


 - NSF의 STEM분야 박사과정 학비 지원 프로그램에 2,100만 달러 지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