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산업 미래 전망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5-11
- 등록일 2016-06-07
- 권호 71
□ 미즈호社 전문가 그룹 「One 씽크탱크*」는 글로벌 경제전망 및 일본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보고서 발표
(‘16.5)
* 미즈호은행 소속 산업조사부, 종합연구소, 신탁은행 컨설팅부, 제1파이낸셜테크놀로지, 정보종합연구소, 증권리서치&컨설팅
유닛으로 구성
○ 10년 후 세계 및 일본 경제의 성장 시나리오를 전망하고 기술진보 및 예상되는 사회적 과제를 반영하여 일본 기업이 나아갈
방향 제시
- 아시아의 인프라 수요 확보와 성장전략 실현으로 일본경제 1% 성장 달성
- 수요의 변화에 따른 시장 및 산업구조 대응
□ 향후 10년간 세계에서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권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이며, 일본의 성장모델을 수출형에서 직접
투자형으로 전환 필요
○ 세계 경제내 아시아 경제의 비중은 ‘15년 약 33%에서 ’25년 40%까지 확대될 전망
※ 아시아권 인프라 투자 규모는 향후 10년간 약 14조 달러로 예상
< 세계경제 아시아 비중 >
○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투입량 감소로 경제 성장율이 저조하나, 여성·고령자 취업 확대 및 성장모델 전환 등으로 잠재성장율
향상 가능
< 일본 성장 모델 >
GNP형 성장모델 | → | GNI형 성장모델 |
수출형모델 | → | 직접투자형모델 (종합상사형모델) |
재화수출모델 | → | 넓은 의미의 서비스수출 모델 (인바운드·아웃바운드 동시 확보) |
□ 기술발전으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 예측 및 기업의 대응 방안 제시
○ 기술발전으로 IoT, 빅데이터, AI 등 새로운 가치창출로 비즈니스 모델 변화
- 새로운 기술로 인해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함으로 새로운 수요창출 발굴 및 가치사슬의
효율화 가능
< 기술발전에 따른 시장 확대 >
○ 모빌리티로 이행하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일본 자동차 업계의 새로운 사업 기회 획득 및 사업화 도전 필요
- ICT 및 자동차 운전기술의 발전에 따라 카쉐어링, 복합운송과 같은 자동차에 의한 모빌리티를 제공하는 솔루션 실효성 증가
- 구글 등 IT기업이 산업의 경계를 넘어 모빌리티 사업에 참여
○ 차세대 소재산업에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 전환
- ICT 기술발전으로 일본의 소재산업(석유정제, 철강, 비철금속, 화학, 제지 등)은 성장 기회가 큰 반면 동시에 위협요인과 대책
마련 필요
- 중장기 비즈니스 모델의 하나로 고객·사회·시장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플랫폼형 종합소재기업(Mega Multi-Material Firm)
고려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