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연구·혁신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5-11
- 등록일 2016-06-07
- 권호 71
□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독일의 연구·혁신에 대한 연방정부의 현황 및 정책 과제를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
(’16.5.11)
* Bubdesbericht Forschung und Innovation 2016(격년 발행)
○ 독일의 총 연구개발비는 840억 유로(110조 원)이며, 산업계 비중이 2/3, 연방·주 정부 비중이 1/3을 차지
- 연방정부 연구개발비는 ‘05년 90억 유로에서 ’16년 148억 유로로 75% 증가, 연구개발 인력은 최초로 60만명 초과(‘05년 대비 1/3
증가)
<총 연구개발비>
<연방정부 연구개발비>
○ ‘13년 기준, 연방정부와 주정부 총 연구개발비는 123억 유로이며,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각각 66.7%, 33.3%를 차지
- 고등교육2020 관련 예산이 총 31억 유로(4조원)이며, 4대 연구회(HGF, MPG, Lebniz, Fraunhofer) 및 DFG(독일연구재단) 관련
펀딩이 77억 유로, 기관펀딩은 94억 유로(연방정부 66억 유로, 주정부 28억 유로)임
<연방정부와 주 정부의 공동 펀딩 분야(‘13년도, 단위:백만 유로)>
○ 독일 연구개발 성과를 보면, 상위 우수 논문은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이고, ‘12년 상위 10% 인용 논문 중 독일의 비율은 16%를
차지
<상위 10% 우수논문 비율>
□ ‘15년 혁신스코어보드 지수에 따르면, 독일 연구혁신 평가는 EU 28개국 중 4위*에 해당
*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가 각각 1, 2, 3위로 평가됨
- (장점) 기업투자, 기업가정신, 특허·라이센스 해외수입, 논문, 박사졸업자
- (단점) 비EU출신 박사규모, 벤처캐피털 투자
< 독일&EU 혁신 스코어보드지수>
○ 정책적 과제로 AI 등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디지털 기술 개발 및 속도가 느린 중소기업 혁신을 가속화 등이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