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제 4차 산업혁명' 입국 원년을 위한 전략 구체화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4-27
- 등록일 2016-06-07
- 권호 71
□ 기술혁신이 가져올 大전환기에 대응해 범정부차원의 역량 결집에 총력
○ 사물인터넷‧빅데이터‧인공지능‧로봇 등 첨단기술이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면서 기존 산업영역과 직업구조 등 사회 전반에
변화를 초래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
○ 이에 일본 정부는 ’15.8월부터 4차 산업혁명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준비하기 위한 논의를 지속했으며 지금까지 결과를 정리한
중간보고서(신산업구조비전: 新産業構造ビジョン)를 발표(4.27)
- 산업혁명이 실현되면 인구감소에 따른 저성장을 극복하고 ’30년 명목 GDP가 846조 엔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일본은 유럽‧미국 대비 4차 산업혁명 대응에 뒤처진 것으로 판단하고 현행대로라면 ’20년 명목 GDP는 정부 목표인 600조 엔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30년 624조 엔으로 추산
-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성장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차세대 기술과 산업 비전을 검토하여 7개 전략 분야를 선정
<'신산업구조비전'에서 제시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일본의 전략>
➀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환경 정비 | • 데이터 플랫폼 구축 • 데이터 유통시장 형성 • 개인정보 활용 촉진 • 보안기술개발과 인재육성 강화 • 지적재산 정책 마련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경제정책 |
➁ 인재육성 등을 통해 고용시스템 유연성 향상 | • 새로운 요구에 대비해 교육시스템 개선 • 글로벌 인재 확보 • 다양한 직업활동 촉진 • 노동시장 및 고용제도의 유연성 향상 |
➂ 이노베이션 신기술개발 가속화(Society 5.0) | • 오픈 이노베이션 시스템 구축 • 세계를 선도하는 혁신거점 정비, 국가 프로젝트 구축 등 • 지적재산 관리 및 국제 표준화의 전략적 추진 |
➃ 금융기능 강화 | • 위험자산에 대한 금융지원 강화 •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무형자산 투자 활성화 • 핀테크 중심으로 금융결제 기능 고도화 |
➄ 산업구조‧취업구조 전환 원활화 | • 신속‧과감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부역량 강화 • 신속‧유연한 사업재편을 위한 제도‧인프라 정비 |
➅ 지역경제 활성화 | • 중소기업, 지방에서 사물인터넷 도입‧활용 기반 구축 |
➆ 제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경제사회 시스템 고도화 | • 규제개혁 • 데이터를 활용한 행정 서비스 향상 •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글로벌 진출 확대 •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확산 가속화 |
※ 주) Society 5.0: 첨단 ICT 발전을 기반으로 새로운 제품과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초연결 스마트 사회’를 의미
※ 자료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산하 신산업구조부회 ’16.4.27
- 또한 인공지능‧로봇 등 기술혁신에 적절히 대처하지 않는다면 ’30년까지 일본 내 고용이 735만 명 감소할 것으로 발표
※ 직업을 9종류로 분류해 15년 후 각 직업별 종사자 수 변화를 ‘현상 유지’와 ‘혁신’으로 대처하는 2가지 시나리오로 분석
- 반면 산업구조 개혁과 혁신을 도모해 새로운 고용을 창출하고 규제개선 등 산업 간 경계를 넘나드는 기업 제휴 등을 추진할 경우
고용감소는 161만 명으로 대폭 축소할 수 있다고 예측
※ 혁신을 도모했을 경우, 특히 4개 분야 직종에서 큰 효과를 보이며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
※ ▲(고급업무) 경영‧제품기획‧마케팅‧R&D 등 새로운 비즈니스를 수립하는 인재 필요 ▲(대체가 어려운 영업판매) 고도 컨설팅을
수행하는 직종 확대 ▲(대체가 어려운 서비스) 사람이 직접 응대해 서비스를 제고하는 업무 증가 ▲(IT업무) 제조업의 IoT 보안
등 산업전반에 IT수요 확산
< '신산업구조비전'에서 제시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일본의 전략 >
직종(직업) | 혁신‧개혁없이 현상유지 고용자 수 | 혁신 고용자 수 |
➀ 고급업무(경영전략‧연구개발 등) | 136만 명↓ | 96만 명↑ |
➁ 제조‧조달(생산‧관리사원 등) | 262만 명↓ | 297만 명↓ |
➂ 대체가 어려운 영업판매(고액 보험영업 등) | 62만 명↓ | 114만 명↑ |
➃ 대체가 쉬운 영업판매(보험판매‧매장계산원 등) | 62만 명↓ | 68만 명↓ |
➄ 대체가 어려운 서비스(프리미엄 쇼핑몰 직원‧간병 등) | 6만 명↓ | 179만 명↑ |
➅ 대체가 쉬운 서비스(콜센터‧은행창구 업무 등) | 23만 명↑ | 51만 명↓ |
➆ IT업무(개발자‧보안 관리자 등) | 3만 명↓ | 45만 명↑ |
⑧ 지원업무(경리‧급여관리‧DB입력 등) | 145만 명↓ | 143만 명↓ |
⑨ 기타(건설 현장 근로자 등) | 82만 명↓ | 37만 명↓ |
합계 | 735만 명↓ | 161만 명↓ |
※ 자료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산하 신산업구조부회 ’16.4.27
□ 일본은 새로운 기술혁신 시대를 맞이해 변혁과 도전을 가속화하며 나아갈 방향 제시
○ 인공지능‧로봇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고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한 일본의 체계적 전략을
주목할 필요
○ 특히 고령화·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 등 다양한 사회적 과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첨단 기술혁신은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과
경제성장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
○ 이번 신산업구조비전 중간발표는 미래 산업·취업구조 변화, 새롭게 요구되는 법·제도 환경 정비, 투자 촉진뿐만 아니라 민관이
공유할 수 있는 비전을 수립해 성장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데 의의
○ 우리나라도 정부·학계·연구기관 등 범정부차원 역량을 집결해 차세대 기술을 확보하고 최첨단 경제사회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 강화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