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G7 정상회담 주요 과학의제 논의 결과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5-27
- 등록일 2016-06-21
- 권호 72
□ 이번 G7 정상회의* 과학기술 관련 의제로 사이버 공간, 기후변화·에너지, 지속가능 개발이 논의(‘16.5)
* ‘75년 프랑스 대통령의 제안으로 세계 경제 문제 협의를 위해 개최해 온 선진 7개국 정상회담으로 올해 5.26∼27일 일본
이세시마에서 개최
○ 사이버 공간의 안정·혁신·성장 촉진
- 관련 국제법 적용, 범죄 사이버 활동 국제적 공조, 주요 사이버 인프라 구축 등 국제협력 강화, 디지털 기반 제품 국제 표준화 촉진
○ 기후변화 대응, 환경 보호, 에너지 안보 강화
- 상업용 항공 산업에 발생하는 수소불화탄소(HFCs)를 줄이고, 2020년 동 분야에서 탄소중립 성장 달성을 목표
- 메탄이나 블랙카본 등 단기 대기오염원의 배출량을 ‘25년까지 ’12년 수준의 40∼45% 수준까지 절감, 원자력 안전·보안 기준 강화
및 핵 확산 방지
○ 지속가능 개발 추진을 위한 2030 어젠다 및 아디스 아바바 행동의제 채택
- 미국은 아디스 세금 프로그램(Addis Tax Initiative) 창립멤버로서 개발도상국이 국내 자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기술적 조언 제공
- 식품 안보 및 영양 증진을 위해 글로벌 공공 데이터 프로그램 적극 추진
□ G7 과학기술 장관회의*에서 주요 7개국과 유럽 연합의 과학기술 장관들이 모여 다양한 과학 기술 의제 및 국제협력
방안 논의 및 공동성명 발표
* ’16.5.15∼17일 일본 츠쿠바 개최
○ 보건의료는 전염병으로 인한 위협이 전세계의 가장 시급한 과제중 하나로 과학기술 혁신 R&D 협력 및 국제공조가 필요
- 열대성 질환 및 전염병 : ①정보 및 데이터 공유, ②상호 운용성 강화
- 노령화 노인 복지 : ①뇌질환 관련 연구 국제협력 ②오픈 사이언스를 통한 결과 공유 ③고령화 사회 대응 우수정책 사례 공유
○ 과학기술혁신에 필수적인 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혜택이 지역,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정책 추진
- 여성참여 확대, 차세대 글로벌 과학기술혁신 리더 육성
○ 기후변화와 해양 생물 다양성 모니터링의 국제 공조 확대 및 해양 평가 시스템 강화로 오픈 사이언스와 지식 네트워크 발전
촉진
○ 혁신적 에너지 기술 개발을 위한 2050년 목표의 혁신적 청정에너지 기술 R&D 촉진
○ 선진국과 개도국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포용적 혁신정책으로 글로벌 도전과제 대응 우수사례 확대, 학생·연구자 글로벌 과제
참여 촉진, 디지털 서비스 접근 개선
○ 오픈 사이언스를 통한 공공 연구 성과 접근성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