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신약 승인 성공률 분석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5-25
  • 등록일 2016-06-21
  • 권호 72

□ 바이오기술혁신협회(BIO)*는 식품의약청(FDA)의 임상시험 과정을 거쳐 신약 승인까지 단계별 성공률을 분석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16.5) 


 
* 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 Clinical Development Success Rates 2006-2015

 

본 보고서는 ’06∼’15년까지 임상시험을 거친 1,103개 기업, 7,455건의 개발 프로그램, 9,985건의 사례를 바탕으로 질환별, 신약 특성별 승인 성공률을 분석한 결과로 관련 연구에서 가장 종합적인 보고서로 평가 

○ 임상 시험 프로그램의 임상 1상부터 최종 승인까지 모든 단계를 통과할 확률*(Likelihood of Approval, LOA)은 9.6%에 불과


  * 각 과정을 통과할 확률을 모두 곱한 값으로 계산


 - 식품의약청(FDA) 임상시험은 총 4단계로 구성되며, 임상 2상에서 3상으로 진행될 확률이 30.7%로 가장 낮은 성공률을 보임


 - 임상 1단계(1상→2상) 성공률 63.2%, 2단계(2상→ 3상) 성공률 30.7% 이상, 3단계(3상→NDA*/BLA**제출) 성공률 58.1%,

   4단계(NDA/BLA제출 → FDA 최종 승인) 성공률은 85.3%임


  * New Drug Appllication(NDA): 신약승인신청


 ** Biologic License Application(BLA): 생물의약품허가  


<단계별 신약개발 성공률(LOA) > 

 

 


○ 최소 100개 이상의 사례가 있는 14개 질환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혈액질환 관련 신약이 26.1%의 상대적으로 높은 FDA 승인

    가능성을 보였고, 종양 질환 관련 신약은 5.1%로 낮게 나타남


<질환별 최종승인 확률 (LOA) > 

질환명

FDA 승인 가능성

임상1-

임상2

임상2-

임상3

임상3-

NDA/BLA

NDA/BLA-

최종승인

전체

9.6

63.2

30.7

58.1

85.3

혈액질환

26.1

73.3

56.6

75.0

84.0

감염질환

19.1

69.5

42.7

72.7

88.7

안질환

17.1

84.8

44.6

58.3

77.5

신진대사질환

15.3

61.1

45.2

71.4

77.8

위장질환

15.1

75.6

35.7

60.6

92.3

알러지

14.7

67.6

32.5

71.4

93.8

내분비계질환

13.2

58.9

40.1

65.0

86.0

호흡기질환

12.8

65.3

29.1

71.1

94.6

비뇨기질환

11.4

57.1

32.7

71.4

85.7

자기면역질환

11.1

65.7

31.7

62.2

86.0

신경질환

8.4

59.1

29.7

57.4

83.2

심혈관계질환

6.6

58.9

24.1

55.5

84.2

정신질환

6.2

53.9

23.7

55.7

87.9

종양질환

5.1

62.8

24.6

40.1

82.4

기타

16.3

66.7

39.7

69.6

88.4

 


○ 질병의 발현 정도, 바이오마커* 사용여부, 의약품 분류별 분석


  * 단백질이나 DNA, 대사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로 의약품에서는 장기 기능을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추적가능한 물질

 
 - 희귀병은 25.3%, 일상 질환은 8.7%로 큰 차이를 보였고, 바이오마커를 사용한 경우 그렇지 않은경우에 비해 높은 LOA를 나타냄


 - 의약품 분류별로 보면 비분자구조신약이 22.6%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LOA를 나타냈으며 백신(16.2%), 생물의약품(11.5%),

   분자구조신약(6.2%)이 뒤를 이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