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6 과학기술 백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5-25
- 등록일 2016-06-21
- 권호 72
□ 문부과학성은 노벨상 수상자 배출 배경 및 ‘초스마트 사회’에 대한 도전 등 정책 방향성을 기술한 「2016 과학기술
백서」 발표(’16.5.)
[주요내용] * 특집: 노벨상 수상자 배출 배경
1. IoT, 빅데이터 등으로 인한 ‘초스마트 사회’에 대한 도전
1-1. 일본의 미래사회상 구상, 1-2. 초스마트사회 실현을 위한 필요 정책(Society 5.0)
2. 과학기술 진흥에 관한 정책
○ 노벨상 수상자 배출 성공요인으로 초·중·고 과학에 대한 흥미, 신진연구원을 위한 안정적 연구환경, 해외 인적 네트워크, 정부
지원 등을 제시
- 전 세계적으로 노벨수상자의 연구실적은 수상자가 20대 후반∼30대일 때의 업적 중심이며, 연구실적을 낸후 수상까지는 평균
20년 소요
<연령대별 노벨수상자(1956∼2015)>
- 수상자의 대부분 유학 및 해외 연구경험을 연구발전 계기로 삼았고, 정부지원을 활용하여 성과 창출에 기여
- 경력 단계별 젊은 연구원이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정비가 중요
□ 초스마트사회 도래로 육체노동의 대체가 가능해져, IoT, 빅데이터 AI 기술 등이 사회 전반적 변화 주도
○ 산업구조 변화로 데이터 수집·축적·이용이 새로운 부가가치의 원천이 되고, 기존 산업간 장벽이 낮아지고, 새로운 시장 및
산업군 재편성
※ 맥킨지 조사결과에 따르면, ‘25년 AI, 빅데이터 등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5.2∼6.7조 달러, loT의 경제적 가치는 3.9∼1.1조
달러가 될 것으로 예측
○ 위험한 노동 안전성 향상 및 변호사 판례검색 등 AI가 대체함으로 지식집약형 업무 생산성 향상
□ 추진과제로 연구개발 시스템화 추진과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창출방법 혁신, 인재육성 및 확보 등을 제시
○ AI, 빅데이터, IoT 관련 기반기술 전략 강화
< 일본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강점과 약점 >
강점 | 약점 |
◦산업용 로봇 점유율 ◦센서 디바이스 ◦인터넷, 브로드밴드 보급률 ◦교통 IC카드 보급에 따른 리얼데이터 보유 ◦슈퍼컴퓨터의 계산 능력 | ◦정보분야 논문수 및 인재 규모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신규 컨텐츠 개발 ◦데이터분석 기술 ◦전자부품 및 디바이스 ◦산업경쟁력의 개도국 추격 ◦IoT, 빅데이터 활용 능력 |
○ 초스마트 사회 이노베이션 창출
- 미국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및 독일 Industry 4.0과 같이 민관이 함께 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
- 치바시의 드론, 후지사와시의 완전자동주행 등 특구제도를 비롯한 규제개혁
- 타연구자가 창출한 방대한 학술정보 효율적 활용
○ 체계적·종합적 인재육성 정책
- 상대적으로 부족한 인공지능기술자, 데이터 과학자 등 전문인력 육성
- 문제해결 능력, AI 등으로 대체될 수 없는 리더쉽·창조성·도전정신·감성·배려, 교육컨텐츠 및 방법 혁신 필요
- 직업실천육성프로그램(BP) 인증제도, 실천 직업교육의 신규 고등교육기관 제도화 등
※ 직장인 및 기업의 수요에 따라 대학에 실천적 전문적 프로그램을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