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인공지능 적극 지원…3년內 18조 원 규모로 육성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PEOPLE'S REPUBLIC OF CHINA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5-01
  • 등록일 2016-06-21
  • 권호 72

□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인터넷 플러스 AI 3년 실시방안’을 마련

 

  * 국가발전개혁위원회·과학기술부·공업정보화부·인터넷정보판공실


○ 3.27일 선전에서 개최된 ‘2016 중국 IT 리더 포럼’에서 중국 정부는 AI 산업 육성을 위한 3년 실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공개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 3.29)*

 

  * ICT Brief 2016-14, ‘중국정부, 인공지능 산업 육성을 위한 프로젝트 준비’(IITP, 4.14)

 - 발전개혁위원회는 ‘인터넷 플러스(+), 인공지능 3년 발전 방안’ 편성을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문건 작업에 돌입했으며

   이 방안은 연내에 발표, 시행될 것으로 언급


○ 이어 자국 내 인공지능 시장에 대한 기존 전망치의 10여배에 달하는 1,000억 위안(약 18조 1,200억 원) 규모로 성장시킨다는

    액션플랜을 발표(5.28)


  ※ ’15년 12억 위안(약 2,150억 원)이었던 중국의 AI 시장 규모가 ’20년에는 91억 위안(약 1조 6,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iResearch)


 - ’18년까지 AI 혁신 플랫폼 만들어 체계적으로 AI산업과 관련 혁신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AI 표준 제정 및 AI 핵심기술을 확보해

    세계 시장을 지배할 핵심 AI 기업도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


 - 구체적으로 스마트 홈,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무인시스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로봇 등 AI 혁신 제품을 집중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상용화하는 내용이 포함


 -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비롯해 엔젤투자, 벤처투자, 창업투자 등의 AI 투자를 적극 장려하는 것은 물론 표준화 제정, 지적재산권

   보호, 인재양성, 글로벌 협력 등도 적극 지원할 계획 

 

< 중국 AI 산업 현황 > 

 

         ※ 자료 : 팻스냅(’15년 말 누계 기준), 조선비즈 재인용, 아이리서치 

 

 

□ 중국의 ICT 기술 수준이 빠른 속도로 성장해 주요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한국을 앞지르거나 격차를 좁히는 상황(IITP,

   2015년 ICT 기술수준 조사 보고서*, 4.5)

 

  * 융합서비스, 이동통신, 네트워크, 전파ㆍ위성, 방송ㆍ스마트미디어, 기반소프트웨어(SW)ㆍ컴퓨팅, SW, 디지털콘텐츠, 정보

    보호 등 10개 분야에 걸쳐 실시한 결과, ’15.8.18~9.21일까지 산ㆍ학ㆍ연 전문가 1만 2,997명이 참여


○ 특히 고성능슈퍼컴퓨팅(HPC) 분야는 인공지능(AI)의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격차가

    커 대비책이 필요


○ 이에 미래부는 ‘초고성능컴퓨팅(HPC)*사업단(법인)’을 설립해 ’26년까지 매년 100억 원 안팎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할 계획을

    발표(4.4)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첨단 기술의 집합체로 대규모 데이터를 고속으로 저장·분석·처리

    하는 능력을 보유,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지능정보사회의 기반 구실


 - 슈퍼컴 개발 컴포넌트(스토리지․운영체제․보드제작 등)별 중소기업의 참여를 보장해 중소기업이 기술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인지도를 높여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


 - 한편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가 가능한 최상급 인력의 양성 및 기업과의 공동 연구와 기술 이전 등을 통해 산업계의 활력을 제고

   하는 효과도 기대 


< 한국 추월한 중국 기술, 미국 100 기준 > 

분야

기술

한국수준

중국수준

네트워크

SDN 기반 아키텍처

73.0

75.1

SDN 기반 인프라응용

74.1

75.9

미래 인프라 아키텍처

72.8

73.2

미래 인터넷 서비스 응용

73.6

74.8

전파위성

우주전파환경

76.0

80.4

위성탑재체

66.7

80.1

무인기 기술

67.2

80.0

무인기 응용 서비스

65.8

76.2

위성무선항법 서비스

72.2

80.0

기반SW컴퓨팅

고성능 슈퍼컴퓨팅

66.3

73.5

정보보호

국방 보안

78.0

78.2

ICT 디바이스

무인항공기(드론)

73.1

80.7

※ 자료 : IITP, 4.5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