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제조업 개선 및 서비스업 발전 촉진을 위한 2014년 목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4-02-07
  • 등록일 2014-03-03
  • 권호 17

□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제조업 개선과 서비스업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2014년도 목표를 발표(2014.2.7)

 

 ○ 2013년도 중국의 GDP 대비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2차 산업을 추월하고 전략적 신흥 산업의 규모 및 품질이 대폭 향상

     되는 등 산업규모가 확대되었으나 전반적인 산업구조의 불합리성이 문제로 부각


   ※ 일부 제조업 분야에서 과잉생산-유효수요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서비스업 생산성이 전반적으로 정체되어 있는 상황


 ○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산업발전, 시장환경 개선 및 혁신주도형 발전 강화를 통한 서비스업의 진흥을 촉진하기 위한 목표를

     제시


□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정부의 조율능력 강화, 제조업의 체질개선, 서비스업의 발전 촉진을 2014년의 목표로 결정

목표

주요 내용

정부의 조율능력 강화

- 략적 경제구조 조정을 통해 1차·2차·3차 산업의 조화로운 발전 촉진


- 합리적인 민간투자를 유도하며 국가 차원의 전략적 추진 분야에 효과적으로 자원을 분배


- 민영경제 진입완화, 중소기업 발전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다양한 주체들이 시장경쟁에

   평등하게 참여하도록 추진

제조업의 체질개선

- (과잉생산문제 해결) 관계부처-지방정부의 공동협력을 강화하여 과잉생산 해결 촉진을

   위한 유인정책 추진


- (생산성 조정 및 고도화) 생산성 조정 및 고도화를 가속화하여 중점산업에 대한 자원

   배분의 최적화 달성 

 

- (산업이전 유도) 지역적 이점을 활용하여 동부지역은 첨단제조업과 현대적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개선 추진하고 중・서부지역은 현지의 특수자원을 활용하여 산업이전을 유도


- (첨단제조업 육성) 국제수요에 입각해 첨단제조업 발전을 가속화하는 한편, 기업이 최신

   설비확충・정비를 통해 고부가가치 신제품을 생산하도록 유도


- (외수안정 및 확대) 수출제품의 과학기술 수준을 향상시켜 국제시장 점유율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高에너지소비·高오염·底부가가치 제품의 수출을 지속적으로 규제

서비스업의

발전 촉진

- 산업 간 융합을 강화하고 전문 분업을 세분화하여 전반적인 산업경쟁력 제고


- 국민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생활형 서비스업’의 육성을 위해 서비스 표준의

   개선 및 서비스 품질의 향상 추구


- 국가 서비스업 종합개혁 시범구와 서비스업 발전 시범구 구축의 강화, 제조업 및 서비스업

   클러스터의 공공플랫폼 구축 강화 및 시범적인 혁신발전모델로 적극적 모색 실시


- 지속적으로 서비스업 발전의 저해요인을 제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