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21세기 과학기술혁신 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5-31
- 등록일 2016-07-04
- 권호 73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산하 국가안보위원회는 국가안보 과학기술혁신(STI)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21세기 과학기술혁신전략* 발표(‘16.5.)
* A 21st Century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rategy for America’s National Security
※ 국가안보 과학기술혁신기업(National Security ST&I Enterprise)은 그간 스텔스 기술, 통합 지위 통제, 정밀 타격 체계 등 수많은
혁신 기술을 제공해 왔으나, 냉전시대 개발된 기술로는 현재 미국 안보를 위협하는 테러 활동이나 지능형 범죄 대응에 부적합
○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한 새로운 군사적 위협과 경제적 기회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략 개발 요구
- 사이버 보안, 전염병, 인공 지능 및 자동화, 기후변화 등 새로운 국토안보 이슈에 대한 과학기술 혁신 기업의 현대화 전략 필요
○ 국가안보 과학기술혁신 기업에 큰 영향을 주는 국방, 국토 안보, 정보제조업, 등 6대 분야의 기술 산업동향 소개
- 신경과학 분야 연구, 사이버 보안기술 투자, 안보활동 정보수집
- 3D 프린팅·나노기술·바이오 소재 등 첨단제조기술 부문 발전, 빅데이터 분석, 에너지 공유 기술 투자
○ 새로운 위협요인과 기회요인으로 10대 이슈 분석
- (위협요인) 아시아 중심의 과학기술 국제화, 디지털 기술의 악용, 자원부족과 기후변화, 전염병으로 인한 재해, 민간기업의
기술 수준 향상, 가격 경쟁력으로 인한 기업의 해외 진출, 국가안보 과학기술 혁신기반 시설의 노후, 우수인력 활용의 한계
- (기회요인) 은퇴인력의 대체 및 해외인력 유입, 글로벌 이슈에 대한 과학기술 혁신 외교 기회 확대, 국제적 문제해결 안정을
위한 과학기술 혁신
□ 국가 안보 과학기술혁신기업의 미래 비전 4대 정책 방향 제시
○ (STEM 인력 강화) 세계 최고 인재 확보를 위한 STEM 교육 강화 및 인력 유치
- STEM 부문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우수인재 양성
- STEM 부문 인력 유치를 위한 연방기관 인력 프로그램 운영
- STEM 분야 고급 인재 영입을 위한 공공·민간·학계 등 타 분야간 교류 촉진
○ (연구 인프라 현대화) 과학기술 장비에 대한 현대화 추진
- 기존 과학기술 인프라 시설의 보강 및 신규 설비투자 계획 수립
- 최상의 기술 업무환경 조성 및 우수인재 창의성 제고
- 전문 장비 활용 공유
○ (거버넌스 효율화) 기업 관련 규제의 최소화 및 협력 범위 확대
- 국가 안보 과학기술 혁신기업은 의회와 행정기관들과 협력하여 기업의 거버넌스와 사업관행을 개선
- 국가 안보 과학기술혁신기업 개념을 학계·비영리단체·민간기업·연방연구소 전체를 포괄하는 수준으로 확대
○ (혁신 개방화)
- 국제 파트너십을 통한 과학기술혁신 활동 개방성 확대
- 정부 구매와 지적재산권 관련 자금 지원 방안 제시
- 시장으로의 기술 사업화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