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과학혁신 시스템의 국제 비교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4-01-01
- 등록일 2014-03-03
- 권호 17
□ 기업혁신기술부(BIS)는 영국의 과학혁신시스템을 국제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를 발표(2014.1.)
○ 본 비교분석의 목적은 과학혁신시스템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혁신을 통해 최대수익을 얻기 위한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
- 분석 결과, 과학혁신이 기업투자와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발견
□ 6개 기준에 따라 영국의 과학혁신시스템을 평가하여 주요 강점과 약점을 제시
○ (투자) 시스템 전체에 투입되는 기반시설, 신지식, 흡수능력, 혁신 투자 등
○ (재능) 신・구 지식을 요구・개발・공유할 수 있는 인적자본
○ (지식재산) 혁신의 질적 측면과 가능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성과
○ (구조와 인센티브) 시스템 내에서 효과적 협동을 통해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제도
○ (주변 환경) 과학혁신시스템이 상호작용하는 경제적・사회적 환경
○ (혁신 성과) 경제적・사회적 이익과 같이 측정가능한 성과
기준 | 평가 | 주요강점 | 주요약점 |
1. 투자 | 중/하 | ∙외국 자본의 R&D 투입 ∙기업의 자본시장(벤처자본) 투자증대 | ∙저조한 정부・기업의 R&D투자 ∙정부의 낮은 혁신지원 수준 ∙단기투자에 집중된 자본시장 |
2. 재능 | 중/하 | ∙세계적 수준의 연구수월성 ∙세계적 수준의 고등교육기관 보유 | ∙ICT 분야 등에 대한 낮은 수학능력 수준 ∙과학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STEM 분야나 연구에 종사하는 석·박사 부족 ∙우수한 인재의 관리능력 미흡 |
3. 지식 재산 | 중/상 | ∙미국 다음으로 세계적 연구기반 및 연구기관 보유 ∙높은 국제협력연구 비중 | ∙낮은 산학협동연구 논문・특허건수 |
4. 구조· 인센티브 | 중/상 | ∙경쟁적 투자유치 우수성 ∙기업의 국제협력 강화 ∙R&D 중시 기업과 대학 간 협동 ∙현대적 지식재산시스템 ∙기초-응용-실험연구의 균형 | ∙혁신을 촉진하지 못하는 정부 조달 시스템 ∙논문과 협동연구, 학제 간 연구와 강의 등 대학연구에서의 인센티브 부족 문제 |
5. 주변 환경 | 중/상 | ∙개방적・경쟁적 시장, 긍정적 기업환경, 다국적 기업의 매력 ∙높은 신기업 창업율 ∙과학기술에 대한 높은 국민적 관심도 | ∙소수 분야・기업에 R&D 집중 ∙중견기업으로의 성장 비율 저조 ∙저급기술·底품질 제품생산 다수 |
6. 혁신 성과 | 중 | ∙정교한 제품, 지식집약형 서비스 수출 | ∙노동생산성 및 시장혁신수준 저조 |
□ 본 비교분석 결과는 영국의 과학, R&D, 혁신, 고등교육, 산업계의 미래상, 과학혁신시스템 등의 측면에서 과학
혁신을 통해 경제적・사회적 이득을 얻기 위해 필요한 추진전략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