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인더스트리 4.0 국제 비교를 통한 시나리오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6-23
  • 등록일 2016-07-18
  • 권호 74

□ 독일 공학한림원은 주요국가의 인더스트리 4.0 비교를 통한 독일의 미래 시나리오*를 발표(‘16.6.)


  * Industrie 4.0-Internationaler Benchmark, Zukunftsoptionen und Handlungsempfehlungen für die Produktionsforschung


  ※ 본 보고서는 산업, 과학, 정치 분야의 독일 및 주요국가(미국, 브라질, 중국, 일본, 싱가포르, 한국) 전문가 150명의 인터뷰를

      통해 국가별 특성 분석


○ 디지털 사회의 가속화에 따른 인더스트리 4.0은 독일 뿐 아니라 미국, 중국, 한국·일본 등 주요국가에도 기회와 도전의 기회임


 - 미국은 디지털 기술 융합을 통해 미래 혁신을 주도하고 있고, 일본·한국은 스마트 팩토리 산업에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 


< 주요국가별 인더스트리 4.0 특성>  

미국

 

유럽

 

중국

 

한국·일본

 

 

 

 

 

 

 

기술혁신

디지털 혁신기술 융합

 

기술력

우수한 엔지니어링 기술

 

속도

전략적인 기술 개발

 

스케일업 능력

스마트 팩토리 등 대규모 제조업

 


○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26개 국가 중 브라질,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한국, 미국 등 6개 국가 클러스터 선정 및 2030년

    시나리오 예측 


<주요국가 2030년 시나리오> 

구분

내용

브라질

교육 및 R&D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 증가

제조업 분야의 주도자로서의 역할은 기대하기는 어려움

중국

경제성장 및 연구개발 지출이 최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중국은 상위 10위권 혁신국가로 미국과 선도적 생산국 입지 구축

사우디아라비아

이슬람 국가의 모델로 과학이 국가 번영의 토대가 되기는 불가능

인더스트리 4.0 경쟁무대에서는 시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스페인

중소·대기업의 R&D 투자로 일자리 창출 증가

인더스트리 4.0 분야에서글로벌 시장의 주도적 역할 담당

한국

정부주도로 성공적 제조업 육성

인더스트리 4.0의 선도 국가로, 스마트 팩토리의 주도적 역할 담당

미국

최대자유시장경제 및 인터넷·빅데이터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형성

제조업 발전은 바이오·국방기술보다 미약하나 점차 제조업 르네상스 구축, 서비스 분야의 선도 국가 유지

 


□ 국가별 비교 결과, 독일은 기술, 국산제품 인지도, 교육 시스템 등은 강점이나, 기업가적 정신 및 비즈니스 모델은

   약점으로 평가


○ 강점으로 핵심기술 자국 생산, 국내산 인지도*, 듀얼 교육시스템** 도출


  * 국내 제품에 대한 자국 및 해외 소비자의 높은 가치 평가


  ** 산업계의 고숙련 노동자와 대학의 과학이론의 균형


○ 약점으로 인프라, 인터넷 기술* 제시


  * 낮은 인터넷과 네트워크 기술 수준으로 독일의 생산성 저해


○ 성장동력으로 기업의 적극적 변화 시도, 개인 수요 증가, 고임금 국가 등을 도출  


 < 독일 인더스트리 4.0 국제 비교 평가 >  

구분

독일 기준

강세 국가

약세

강세

안전성

 

 

 

 

 

 

 

 

 

 

표준체제, 이동성, 상호호환성

 

 

 

미국

지속가능성

 

 

 

 

 

 

 

 

EU, 일본

사용자 친화성

 

 

 

 

 

 

 

 

미국

데이터 획득과 분석

 

 

 

 

 

 

핀란드, 한국

자료·정보의 흐름

 

 

 

 

 

 

 

 

 

 

일본

교육과 훈련의 우수성

 

 

 

 

 

 

 

 

 

독일, 핀란드

국산제품 인지도

 

 

 

 

 

 

 

 

 

 

독일, 일본

개척정신(pioneering spirit)

 

 

 

 

 

 

 

스웨덴, 싱가포르

비즈니스 모델

 

 

 

 

 

 

 

 

중국, 미국

기업문화와 유연성

 

 

 

 

 

 

 

 

 

스웨덴

국제화

 

 

 

 

 

 

 

 

 

EU, 싱가포르

정치적 의지와 제한

 

 

 

 

 

 

 

 

 

 

한국

자본에 대한 접근성

 

 

 

 

 

 

 

 

 

미국, 싱가포르

상품과 시장에 대한 접근성

 

 

 

 

 

 

 

 

미국, 중국


○ 독일 2030 시나리오로 ①인간·기술·사회의 균형과 조화, ②디지털 사회화, ③디지털 장벽 ④타국 주도의 글로벌 디지털화 등 4가지

    가능성 도출


 - 그 중 시나리오 ①이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고, 인더스트리 4.0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 독일은 인더스트리 4.0 주도적 글로벌 플레이어로 ICT 인프라 확장 및 일-삶의 균형과 같은 노동 환경으로 매력적인 국가로 될

   것이며, 세계 최고 수준의 독자적 기술을 보유할 것으로 예측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