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IEA, 대기오염 특별보고서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6-27
- 등록일 2016-08-01
- 권호 75
□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전 세계 에너지 안보의 위협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세계에너지전망 2016’ 대기오염 관련
특별 보고서*를 발간(‘16.6.)
* World Energy Outlook (WEO) Special Report
※ 에너지와 대기오염에 관한 보고서를 펴낸 건 창립 40년 역사상 처음으로, 이번 보고서에는 에너지 관련 오염물질 방출 및 질병·
사망 등에 관한 최신 통계와 2040년까지의 전망 등이 포함
○ 세계 도시 80%이상이 WHO가 설정한 대기오염 수치를 넘어선 곳으로, 대기오염은 고혈압· 식이 관련 위험·흡연에 이어 4번째
사망요인임
※ 대기오염으로 매년 약 650만명의 영아 사망이 발생
○ 대기오염의 가장 큰 원인으로 비규제 또는 비효율적 연료 연소로 인한 에너지 생산 및 소비로 규정
- 미세먼지의 85%와 거의 대부분의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이 인간의 에너지 생산 및 소비 과정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판명
< 에너지 소비처별 주요 대기오염원 비중(‘15년 기준) >
- 대부분의 에너지 관련 미세먼지(PM2.5) 배출은 주거부문을 통해 이루어지며,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에 집중
< 지역별 에너지 관련 미세먼지 배출현황(‘15년 기준) >
□ IEA는 2040년까지 주요 오염원 배출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이와 관련 효율적인 전략인 ‘청정 대기 시나리오
(CAS)’를 제안
○ ‘40년까지 미세먼지는 7%, 황산화물 20%, 질산화물은 10%씩 배출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선진국 및 중국과는 달리 인도,
동남아시아,아프리카 등의 오염원 배출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정부는 ① 장기적인 대기 질 개선 목표 설정 ② 에너지 분야 청정 대기 전략 마련 ③ 효과적인 관리, 단속, 평가, 소통을 추진할
것을 촉구
- 에너지 구조 전환을 통해 오염원 배출 방지(Avoid), 관련 기술 혁신(Innovation) 촉구, 오염원 배출 저감(Reduce)의 AIR 전략
요구
< 청정대기 시나리오(CAS)를 위한 주요 정책 >
○ 2040년까지 에너지 분야 투자가 7% 증가하면, 대기 오염 및 가정 내 오염으로 인한 영아 사망을 각각 170만명, 160만 명 줄일
것으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