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반도체 산업 동향 및 글로벌 경쟁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6-27
- 등록일 2016-08-01
- 권호 75
□ 의회 조사국(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CRS)은 미국의 반도체 산업 현황과 연방 정책 등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16.6.)
* U.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dustry Trends, Global Competition, Federal Policy
○ 한국·일본·대만과의 경쟁으로 인한 미국 반도체 산업 생산 비중 감소로, 미 의회는 주요 생산기지를 미국 국내에 잔류시키는
방안을 모색
※ 세계 반도체 생산시설중 미국의 비중은 ‘80년 42%에서 ’07년 16%로 감소
○ 미국 반도체 산업은 ‘15년 전체 3,350억 달러의 매출액 중 49.6%인 1,660억 달러를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을 통해서 달성
< 글로벌 시장내 미국 반도체 산업 매출액 >
○ 반도체 생산 공정은 설계, 실리콘 웨이퍼 전자회로 생성, 후공정 시험·조립·포장의 3단계로 구성되며, 미국은 820여개 업체가
관련 제조산업에 종사
< 글로벌 반도체 시장 패턴 >
- ‘14년 부가가치 액은 272억 달러로, 제조업 부가가치의 1%를 차지
- 매출의 15∼20%가 R&D에 투입되는 R&D 집약도가 높은 산업
- ‘15년 기준 18만 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평균 임금은 13만 8,000달러로 전체 제조업 평균치의 두 배 이상임
- 미국 업체의 매출의 83%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등 반도체 제품은 해외 수출 및 무역이 매우 활발한 편임
□ ‘80년대 이후 글로벌 시장의 경쟁은 점차 격화되고 있으며, 최근 중국은 자국 반도체 산업에 파격적인 투자를 지원
하고 있음
○ 중국은 2030년까지 반도체 산업의 전 생산과정 자체 조달을 목표로 추진 중이나, 기존 기술선진국들의 보호정책과 기술한계로
가시적 성과가 어려움
○ 일본 도시바, 르네사스, 소니, 한국의 삼성, SK 하이닉스, 대만 TSMC와 UMC 등 기업들은 정부 지원정책과 보조금으로 급속
하게 성장
○ 현재 대부분의 반도체 생산시설이 동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중국의 생산시설 9개 중 3곳도 인텔, 삼성, SK 하이닉스에 속함
< 세계 300mm 웨이퍼 제조 공장(팹) 현황 >
국가/지역 | 2011년 | 2013년 | 2015년 |
대만 | 21 | 23 | 28 |
미국 | 15 | 16 | 17 |
일본 | 16 | 16 | 17 |
한국 | 10 | 10 | 12 |
중국 | 7 | 7 | 9 |
유럽&중동 | 7 | 6 | 6 |
동남아시아 | 4 | 4 | 5 |
합계 | 80 | 82 | 94 |
○ 이에 따라, 연방정부는 국가전략컴퓨팅(NSCI)* 계획을 바탕으로 반도체 기술 첨단연구 네트워크,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 2020년 이후 나노일렉트로닉스, 에너지 효율 컴퓨팅 등 연방 정책을 시행 중
* National Strategic Computing Initi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