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산학연 협력 추진 정책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06-28
- 등록일 2016-08-01
- 권호 75
□ 문부과학성은 산·학·연 협력 추진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한 시책 발표(‘16.6.)
○ 국내외 인재, 지적자산, 자금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산학연 협력과 벤처기업 창출 강화
○ 핵심 내용으로 ①오픈이노베이션 시스템 강화, ②신규사업을 위한 중소·벤처 기업 지원, ③지역 활성화 이노베이션 시스템 구축
제시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 시스템 강화】: 기업으로부터 대학·연구개발법인*에 대한 투자를 향후 10년간 3배로 증가(신규사업)
* 연구개발 최대성과 확보를 위해 ‘15.4월부터 「독립행정법인통칙법」에 근거하여 국립연구소를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운영
구분 | 사업 내용 |
(대학) 산학공동창조플랫폼공동연구 추진사업 | ◦ 혁신기술 개발을 목표로 학문적 도전성과 혁신성을 갖춘 이분야 융합 연구영역내 민간자금과 매칭펀드에 의한 산학공동연구 ◦지원규모: 1억 7,000만 엔/년, 지원기간 총 5년 * ‘16년도 예산: 7억엔 |
(대학·연구개발법인) 산학연 협력 리스크 관리 모델 사업 | ◦ 산학연 협력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관리하는 모델 수립 및 전국 대학 산학연 협력 리스크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 ‘16년도 예산: 1억 1천만엔 |
(연구개발법인(검토중)) 오픈이노베이션플랫폼구축 지원 사업 | ◦ 대학 및 연구개발법인에 대한 민간투자 3배 증가 실현 ◦ ‘17년부터 국립연구개발법인의 중개 기능 강화 |
< 산학공동창조플랫폼 공동연구사업 개념도 >
【신규 중소·벤처기업 지원】: 계속 사업
사업명 | 사업 내용 |
이노베이션 인재육성 강화 사업(가칭) | ◦ 민간기업 미래 시장을 보유한 개도국과 협력하여 실제 과제해결 및 신사업 구상 실시 ◦ COI(Center of Innovation)등 대형 산학 협력사업을 통해 민간기업 협력관계 활용 * ‘16년도 예산: 7억엔 |
글로벌 창업가 육성 촉진사업 (EDGE 프로그램) | ◦ 창업 지원 인재 육성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 지원 ◦ 13개 기관, 3년간 * ‘16년도 예산: 7억 200만엔 |
기초 연구 성과 기반 벤처창출 지원 강화 | ◦ NSF I-Corps와 같이 비즈니스모델 검증을 통해 창업 및 이노베이션 창출 지원 사업으로 이행 촉진 |
【지역 활성화 이노베이션 구축】: 신규사업
사업명 | 사업 내용 |
지역이노베이션 협력 시스템 구축 프로그램 | ◦ 지역내 대학과 지자체가 연계하여 사업 프로듀싱팀 창설 ◦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과 함께 사업화를 위한 공동연구 및 벤처 설립을 프로듀싱하여 지역에서 해외로 진출 가능한 신산업 창출 기여 |
< 지역활성화 사업 전체 구조 >
○ 향후 5개년 산업구조 및 특허분석, 인력 양성 등 전략을 수립하고, 사업화추진을 확대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