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오픈이노베이션 백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7-07
- 등록일 2016-08-01
- 권호 75
□ 오픈이노베이션 협의회와 NEDO는 일본 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사례 및 성공요인을 분석한 「오픈 이노베이션
백서*」 발표(‘16.7.)
* ‘15년 2월에 일본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회장은 노지 구니오(고마쓰 제작소 회장)가 맡고 사무국은
NEDO에 설치
○ 일본 연구비 총액은 18조엔으로 그중 민간기업이 12조엔을 차지, 이중 대학으로 들어간 연구비는 약 1,000억 엔에 불과하며
연구인력 유동성은 저조
- 10년 대비 기업의 외부기관 연계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자사 단독 개발이 60%로 아직 폐쇄적인 경향이 강한 편임
- 대학·공공기관과 민간기업과의 공동연구 및 수탁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대학 특허권 보유건수 및 실시건수도 증가
< 일본 전체 연구비 및 연구인력 유동성 >
< 대기업 오픈 이노베이션 현황 >
○ 10년전과 비교해 볼 때 오픈이노베이션이 변화가 없는 경우 ‘경영진의 뒤쳐진 마인드’가 과제인 반면, 활성화 된 기업의 경우
‘외부 협력 프로세스 및 예산확보’가 장애요인으로 도출
□ 오픈 이노베이션의 성공요인은 ①전략·비전 등 조직전략, ②외부와 협력을 위한 조직 활동, 문화·풍토 같은 환경
요소로 구분
< 오픈이노베이션 성공요인 >
요인 | 대항목 | 소항목 |
조직전략 | 전략비전 | 전체 전략·경영전략의 명확화 |
자사의 능력을 뛰어 넘는 목표 설정 | ||
전체 전략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이 차지하는 위치 | ||
시스템 | 오픈이노베이션 툴의 개발 및 활용 | |
스테이지게이트 철저한 관리 | ||
외부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 | ||
조직활동 | 조직 | 오픈이노베이션 전담조직 설치 |
외부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 구축 | |
외부 중개업자 활용 | ||
조직환경 | 인력 | 최고 경영진의 이해 승인 |
중간층의 코디네이터 역할 | ||
현장의 이노베이터 조직 육성 및 활용 | ||
문화 | 이노베이션 창출 조직 문화 조성 | |
성공체험 및 지식 공유 |
○ 성공 사례에서 경영진의 이해, 오픈이노베이션 전문부서 및 담당자 지정, 엑셀러레이션 및 인큐베이션 프로그램 정비 등의
특징들이 도출
- (사례1:올림푸스) 자사의 기술을 공개하여 개발자, 제작자, 사용자와 함께 새로운 사진체험을 개척하는 프로젝트 추진
- (사례2:KDDI*)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야 연구개발 관련 기술 로드맵 작성, 새로운 핵심 기반기술 강화, 기초연구 추진,
산·학·연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
* 일본 제2위 민간통신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