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환경부 <대기오염 방지 행동계획> 중간평가 보고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7-06
- 등록일 2016-08-01
- 권호 75
□ 중국 공정원은 ‘13년 국무원이 발표한 <대기오염방지 행동계획*>에 대한 중간 평가 결과 발표(’16.7.)
※ [참고: 대기오염방지계획]
중국 국무원은 ‘13년 9월에 ‘대기10조’를 발표하고 오는 ‘17년까지 중국 전역의 지급(2급)이상 행정도시의 PM10(지름 10㎍이하 미세먼지) 농도는 ’12년 대비 10%, 징진지(京津冀:베이징·톈진·허베이), 창장·주장 삼각주 지역의 PM2.5(지름 2.5㎍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12년 대비 각각 25%, 20%, 15%씩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
○ 전반적으로 주요도시의 대기질이 개선되었으나, 기존에 제시한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분발해야 하는 상황임
- 지난해 중국 주요 74개 도시의 PM2.5 평균 농도는 55㎍/㎥로 ‘13년의 75㎍/㎥에 비해 23.6% 감소
- 초미세먼지 농도 기준치 초과 일 수 비율은 33.2%에서 20.8%로 감소
- 이산화지수(NO2), 이산화 유황(SO2)도 ‘13년대비 징진지 지역 9.8%, 양쯔강 삼각주 11.9%, 주강 삼각주 19.5%, 청두·추칭
15.8%로 감소
- 베이징 시도 대기질이 개선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PM2.5 농도 목표치인 60㎍/㎥ 달성을 위해 여전히 노력이 필요
< 각 성의 주요 조치 >
구분 | 조치 내용 |
주요 업종 기준치 상향 산업 구조조정 석탄 보일러 정비 황사 대책 조치 | ◦ 각 성별 주요 조치 시책으로 대기질 개선에 크게 기여 - SO2 감소 기여도: ①39%, ②22%. ③29% - NOx(질소산화물) 감소 기여도: ①63%, ②20%, 차량 퇴출 등 9% - PM 2.5 감소 기여도: ①31.2%, ②21.2%, ③21.2%, ④15.2% ◦ 북경시의 경우, ‘13-’15년 배기가스 배출량 기준치 초과 및 노후 차량 122만 2천대 퇴출 - NOx 3.47만톤 감소, PM2.5 0.26만톤 감소 |
공기오염 응급조치 | ◦ 적색경보 두차례 발령, PM2.5 농도 17~25% 감소 |
기상조건 | ◦기상조건은 대기질 개선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
□ 향후 베이징 등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한 조치 등 9가지 대책 제시
< 각 성의 주요 조치 >
구분 | 조치 내용 |
베이징 등 수도권 지역 대기질 개선 | ◦ 겨울철 석탄 난방 공기오염 문제 개선 ◦ 베이징 서남지역 대기오염 개선 강화 ◦ 자동차 오염 배출 통제 한층 강화 ◦ 비도로 이동기계(트렉터, 불도저 등 중장비) 통합 관리 |
징진지 지역 환경종합정비중대공정 조기 시행 | ◦ 베이징 주변 수송통로, 공장 굴뚝 등 오염 배출원 엄격 통제 ◦ 겨울철 난방 오염 감소를 위한 조치 강화 ◦ 징진지 지역의 천연가스 공급 쿼터 상향 조정 |
난방오염 방지 업무 강화 | ◦겨울철 난방 공급지역 공기 오염 경보 제도 정비 ◦ 오염 방지 법규 제정, 생산공장 오염도 하락 조치 등 |
에너지 생산과 소비혁명 | ◦ 재생에너지 발전 지원 및 석탄증가량 엄격히 통제 ◦ 석탄 보일러 종합적 정비 대책 ◦ 오염도가 높은 기업 외곽 이전 |
농촌 생태 환경 개선 | ◦ 메탄가스 보일러 등 다양한 형태의 공동 난방 실시 |
비전기 업종 대기오염 통제기술 업그레이드 | ◦ 콘크리트, 유리, 도자기 등 건축자재에 대한 오염 물질 |
디젤유 차량 오염 배출 통제 | ◦ 주요 지역에 디젤 차량 관련 국가 표준 시행 |
휘발성 유기물 총량제 실시 | ◦ 기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 감소를 위한 관리 |
스모그 기술 시스템 구축 | ◦ 환경 관리 감독 및 법 집행력 지속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