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산관학 협력 이노베이션 창출 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07-13
- 등록일 2016-08-22
- 권호 76
□ 경제동우회는 오픈이노베이션과 관련 ’13년에 제시한 대학·기업·국가가 추진해야 할 방안에 대해 새로운 과제를
기술한 보고서 발표(’16.7.)
① 민간기업 오픈 이노베이션 확대
향후10년간 기업에서 대학 및 연구개발법인으로의 투자를 현재의 3배 확대(3000억 엔)에 관한 총리 방침에 따라, 향후 전략 방안을 제안
○ (국가)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을 위한 세제 혜택 강화
- 기업에서 대학으로의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오픈이노베이션형 연구개발비 중 전년도 증가분에 대한 세액 공제율을
30%에서 50%로 확대
○ (기업) 최고경영자가 스스로 대학과의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목표 설정
- 자사의 핵심기술 및 공개범위를 명확히 하고 오픈이노베이션을 이끌어갈 연구개발조직 책임자(CTO/CIO) 배치
② 중견·중소·벤처기업의 이노베이션 확대
기업의 지속발전을 위한 중장기적 산업수요를 고려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므로 대학, 공공연구기관,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중개기능이 필요
○ (국가) 중견·중소·벤처기업의 중개기능 강화
- 공공연구기관(산업종합연구소, NEDO, 공설시험소*)을 중심으로 코디네이터 증원(3년후 1,000명 규모, 국가가 인건비 부담)
* 지자체, 연구소, 관련기관이 설치하여 연구·인재육성·기업 기술지원·상담 지원
<산업종합연구소 이노베이션 코디네이터>
- 중개활동(과제선정, 아이디어 기획, 기관매칭) 에 대한 자금 배분
○ (벤처캐피탈) 벤처기업의 육성 및 발전을 위한 벤처캐피탈 강화
- 전문가의 직접 지도를 통해 사업 및 기술을 육성하고 사업화 지원
- 신기술(특허) 정보를 벤처기업으로부터 수집하여 기업측에 제공
③ 대학벤처기업의 창출 및 확대
민관이노베이션 프로그램으로 국립대학원 벤처 지원펀드가 확충되어, ’14년 오사카 대학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착수
* 대학벤처는 ’05년 252개로 최고치를 기록한후 ’14은 65건으로 축소
○ 수요에 맞는 벤처창출 지원정책 필요
- 아이디어에서 기획단계까지 지원, 시작품제작 및 실증시험 단계의 지원, 실증단계부터 정부 조달 담보
○ 4개 대학의 벤처펀드는 대학벤처펀드답게 운용
-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감수하는 운용, 유망기술의 조기 발굴, 초기단계부터 투자, 인맥을 활용한 경영 인재 및 관련 전문가 매칭
<국립대학 벤처캐피탈 기업 수>
대학 | 설립 | 출자액(억엔) | 투자기업 수 |
오사카대 | 2014.12 | 166 | 5 |
교토대 | 2014.12 | 292 | 3 |
도호쿠대 | 2015.2 | 125 | 1 |
도쿄대 | 2016.1 | 417 | - |
합계 | 1,000 | 9 |